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창작교실 강의록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

제2강, 나의 생각과 느낌을 집어넣지 말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현미
댓글 0건 조회 102회 작성일 10-09-08 19:38

본문

<제2강, 나의 생각과 느낌을 집어넣지 말라>

1) 시를 이야기 식으로 쓰지 말라.- 줄거리는 과감히 생략하고 중요한 동기가 되는 핵심으로 바로 들어가라.(감동적인 부분이나 순간만 확대, 확장하라)
2)나가서 직접 보고 쓰라-사물을 있는 그대로 관찰, 나를 사물로 대치.
3) 자신의 주장이나 생각을 쓰면 안 되는 이유-지금은 사람을 바라보는 눈이 부정확하기 때문에 본질파악이 우선이다.(안목 부정확)
4) 시를 쓸 때 합리적인 것은 기본이고 시에 철학을 집어넣어라.(가치 기준)
5) 시를 쓸 때 문장훈련과 함께 내공, 철학, 본질파악능력, 인품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6) 시인은 철학을 알고 깨들어 간다.
7)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묘사하라-관심분야 공부, 한 분야의 사물을 집중적으로  깊이 있게 공부하라. ex) 꽃, 새, 나무, 직업관련 등
8) 산문시를 쓰지 말라. (행갈이, 마침표.)
9) 시에 설명을 쓰지 말라.
10) 이성은 못 보지만 본능은 본다. -내게 보이는 것만이 진실은 아니다.

⎈ 철학의 이해
(1) 철학의 핵심-지혜, 앎
(2) 철학이란? - 인간에게 어떤 것이 유익하냐를 탐구하는 학문.
             - 본질파악을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학문(모든 학문의 바탕)
             - 통합적으로 비판하는 학문
(3)철학의 세 가지 이론
 1) 존재론-존재하는 것이 대상  ex) 꽃, 집, 평화, 사랑
          -“무엇이 존재 하는가”➡대상에 대해 생기는 문제 탐구
          -있다고 생각 하는 것을 가지고 비판하는데서 출발
ex1) 있는 것이 허황된 것이냐, 아니냐.
ex2) 정신이 어떤 존재이냐
     -신적인 존재이다.(유신론)
     -정신이 육체의 지배를 받는 존재.(유물론)➜ 유물론적인 시 (몸시)
2) 인식론-인식하는 방법 (앎에 관한 철학적 이론)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안다고 할 때 제기되는 문제탐구
 3) 가치론- “선” 또는 “가치”에 대해 철학적 연구를 뜻하는 말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가치에 대해 생기는 문제탐구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