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창작교실 강의록
- 궁(宮)
- 상(商)
- 각(角)
- 치(徵)
- 우(羽)
제2강, 나의 생각과 느낌을 집어넣지 말라
페이지 정보

본문
<제2강, 나의 생각과 느낌을 집어넣지 말라>
1) 시를 이야기 식으로 쓰지 말라.- 줄거리는 과감히 생략하고 중요한 동기가 되는 핵심으로 바로 들어가라.(감동적인 부분이나 순간만 확대, 확장하라)
2)나가서 직접 보고 쓰라-사물을 있는 그대로 관찰, 나를 사물로 대치.
3) 자신의 주장이나 생각을 쓰면 안 되는 이유-지금은 사람을 바라보는 눈이 부정확하기 때문에 본질파악이 우선이다.(안목 부정확)
4) 시를 쓸 때 합리적인 것은 기본이고 시에 철학을 집어넣어라.(가치 기준)
5) 시를 쓸 때 문장훈련과 함께 내공, 철학, 본질파악능력, 인품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6) 시인은 철학을 알고 깨들어 간다.
7)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묘사하라-관심분야 공부, 한 분야의 사물을 집중적으로 깊이 있게 공부하라. ex) 꽃, 새, 나무, 직업관련 등
8) 산문시를 쓰지 말라. (행갈이, 마침표.)
9) 시에 설명을 쓰지 말라.
10) 이성은 못 보지만 본능은 본다. -내게 보이는 것만이 진실은 아니다.
⎈ 철학의 이해
(1) 철학의 핵심-지혜, 앎
(2) 철학이란? - 인간에게 어떤 것이 유익하냐를 탐구하는 학문.
- 본질파악을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학문(모든 학문의 바탕)
- 통합적으로 비판하는 학문
(3)철학의 세 가지 이론
1) 존재론-존재하는 것이 대상 ex) 꽃, 집, 평화, 사랑
-“무엇이 존재 하는가”➡대상에 대해 생기는 문제 탐구
-있다고 생각 하는 것을 가지고 비판하는데서 출발
ex1) 있는 것이 허황된 것이냐, 아니냐.
ex2) 정신이 어떤 존재이냐
-신적인 존재이다.(유신론)
-정신이 육체의 지배를 받는 존재.(유물론)➜ 유물론적인 시 (몸시)
2) 인식론-인식하는 방법 (앎에 관한 철학적 이론)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안다고 할 때 제기되는 문제탐구
3) 가치론- “선” 또는 “가치”에 대해 철학적 연구를 뜻하는 말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가치에 대해 생기는 문제탐구
1) 시를 이야기 식으로 쓰지 말라.- 줄거리는 과감히 생략하고 중요한 동기가 되는 핵심으로 바로 들어가라.(감동적인 부분이나 순간만 확대, 확장하라)
2)나가서 직접 보고 쓰라-사물을 있는 그대로 관찰, 나를 사물로 대치.
3) 자신의 주장이나 생각을 쓰면 안 되는 이유-지금은 사람을 바라보는 눈이 부정확하기 때문에 본질파악이 우선이다.(안목 부정확)
4) 시를 쓸 때 합리적인 것은 기본이고 시에 철학을 집어넣어라.(가치 기준)
5) 시를 쓸 때 문장훈련과 함께 내공, 철학, 본질파악능력, 인품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6) 시인은 철학을 알고 깨들어 간다.
7)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묘사하라-관심분야 공부, 한 분야의 사물을 집중적으로 깊이 있게 공부하라. ex) 꽃, 새, 나무, 직업관련 등
8) 산문시를 쓰지 말라. (행갈이, 마침표.)
9) 시에 설명을 쓰지 말라.
10) 이성은 못 보지만 본능은 본다. -내게 보이는 것만이 진실은 아니다.
⎈ 철학의 이해
(1) 철학의 핵심-지혜, 앎
(2) 철학이란? - 인간에게 어떤 것이 유익하냐를 탐구하는 학문.
- 본질파악을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학문(모든 학문의 바탕)
- 통합적으로 비판하는 학문
(3)철학의 세 가지 이론
1) 존재론-존재하는 것이 대상 ex) 꽃, 집, 평화, 사랑
-“무엇이 존재 하는가”➡대상에 대해 생기는 문제 탐구
-있다고 생각 하는 것을 가지고 비판하는데서 출발
ex1) 있는 것이 허황된 것이냐, 아니냐.
ex2) 정신이 어떤 존재이냐
-신적인 존재이다.(유신론)
-정신이 육체의 지배를 받는 존재.(유물론)➜ 유물론적인 시 (몸시)
2) 인식론-인식하는 방법 (앎에 관한 철학적 이론)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안다고 할 때 제기되는 문제탐구
3) 가치론- “선” 또는 “가치”에 대해 철학적 연구를 뜻하는 말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가치에 대해 생기는 문제탐구
추천0
- 이전글제3강.역 10.09.18
- 다음글제1강: 시를 쓸 때 유의할 점 10.08.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