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창작교실 자료방
- 궁(宮)
- 상(商)
- 각(角)
- 치(徵)
- 우(羽)
이미지-심상 [心像, image]
페이지 정보

본문
감각기관에 대한 자극작용 없이 마음 속에 떠오르는 영상(映像).
심상에는 과거에 지각(知覺)했던 자극물을 상기(想起)시킨 것(상기표상:기억표상)도 있고, 여태까지 지각했던 일은 없으나 소설을 읽거나, 남의 이야기를 듣고서 마음에 떠오르는 심상[想像表象]도 있으며, 수학문제나 퀴즈(수수께기) 등을 풀려고 할 때 떠오르는 심상[思考表象]도 있다. 상기(想起) ·상상(想像) ·사고(思考)를 총칭하여 표상작용(表象作用)이라고 이름하며 위의 3가지 심상을 총괄하여 표상상(表象像)이라고 하는 학자도 있다.
브렌타노를 시초로 하는 작용심리학(作用心理學)에서는 ‘표상하는 작용’과 그 내용을 엄격히 구별하지만, 심상은 결국 작용의 내용에 지나지 않는다. 심상이란 일반적으로 구체적이고 직관적(直觀的)인 상(像)을 말한다. 사고작용은 이와 같은 직관적인 심상이 머리에 떠오르지 않고 이루어지는 수가 있다. 이것을 비직관적 사고(非直觀的思考) 또는 무심상 사고(無心像思考)라고 한다. 잔상(殘像) ·직관상(直觀像) ·수형(數型) 등은 모두 심상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는 환각(幻覺)이나 꿈도 심상의 하나이다.
심상에는 과거에 지각(知覺)했던 자극물을 상기(想起)시킨 것(상기표상:기억표상)도 있고, 여태까지 지각했던 일은 없으나 소설을 읽거나, 남의 이야기를 듣고서 마음에 떠오르는 심상[想像表象]도 있으며, 수학문제나 퀴즈(수수께기) 등을 풀려고 할 때 떠오르는 심상[思考表象]도 있다. 상기(想起) ·상상(想像) ·사고(思考)를 총칭하여 표상작용(表象作用)이라고 이름하며 위의 3가지 심상을 총괄하여 표상상(表象像)이라고 하는 학자도 있다.
브렌타노를 시초로 하는 작용심리학(作用心理學)에서는 ‘표상하는 작용’과 그 내용을 엄격히 구별하지만, 심상은 결국 작용의 내용에 지나지 않는다. 심상이란 일반적으로 구체적이고 직관적(直觀的)인 상(像)을 말한다. 사고작용은 이와 같은 직관적인 심상이 머리에 떠오르지 않고 이루어지는 수가 있다. 이것을 비직관적 사고(非直觀的思考) 또는 무심상 사고(無心像思考)라고 한다. 잔상(殘像) ·직관상(直觀像) ·수형(數型) 등은 모두 심상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는 환각(幻覺)이나 꿈도 심상의 하나이다.
추천0
- 이전글아우라 [Aura] 10.08.01
- 다음글모티프(motif) 10.08.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