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문학상
제11회 리토피아문학상 수상자 김어진(영진) 시인
페이지 정보

본문
심사평
지금 여기, 꼭 필요한 ‘옳지’와 ‘그렇구나’의 독창적 울림
시의 다양성과 시적 감성의 한계에 대해 생각해보자면 꼭 이 시인의 작품을 두 번 이상 읽어 볼 필요가 있다. 한 번은 작품의 표면을 입이 지나가는 그대로 따라가고, 다음번에는 시어와 시어 사이, 행과 행 사이, 연과 연 사이에 시인이 감췄거나 슬쩍 묻어둔 것을 찾기 위해 눈으로 열심히 탐구하듯 읽어야 한다. 시인은 일상의 미세한 부분과 시선에 잘 사로잡히지 않는 작은 사물들에 대한 그만의 애정과 정감으로 시 세계를 늘 재배치 한다. 그의 이름은 이번 ‘리토피아문학상’의 수상자로 결정된 김영진이다.
김영진 시인은 2017년, 《리토피아》로 등단한 뒤 그간 「달 보드레 나르샤」와 「옳지, 봄」이라는 두 권의 시집을 상재 한 바 있다. 시인은 첫 시집에서 신화와 전설, 민간전승 설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 같은 해학적 작품을 보여주었다. 현대 시인에게 꼭 필요한 시적 서사를 구성하는 능력이 탁월함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이어 두 번째 시집에서는 일상의 미세한 사건과 사물들을 통해서 삶의 페이소스를 담아내면서도 예의 긍정적인 활력을 잃지 않는 독특한 시 세계를 열었다. 심사에 오른 다섯 편의 작품은 그 연장선에서 이해가 가능하기도 하고, 또 다른 변모, 정확하게 말하자면 시적 의미라는 측면에서 더 깊어지겠다는 신호처럼 보이기도 한다. 가령 「흙덩어리는 불도 견딘다」와 「새들의 몸에 악보가 있다」와 같은 작품들이 대표적인 징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상상이 전혀 엉뚱하다거나 돌발적이지 않고 내면의 깊이와 시적 사유의 깊이를 반증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은 「꽃잎에 눈동자가 베인 날」 같은 작품들이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마지막 연, “못에 걸린 당신이 그림과 시계와 달력을 수건으로 닦아준다. 시간의 마음이 열리며 밤이 쉬는 창가로 죽은 자가 택배를 보낸다. 누런 삼베 속 발톱이 광기로 되살아난다. 새가 허공에 비명을 뿌리며 날아오른다.”는 세계의 표면을 한 꺼풀 벗겨냈을 때 형상화할 수 있는 표현이다.
이번 ‘리포피아문학상’의 수상이 김영진 시인이 활짝 열기 시작한 표현의 세계, 일상의 페이소스를 내장한 채 긍정적 에너지를 마구 품어내는 그의 시 세계의 또 다른 계기이자 초석이 되길 간절히 바라마지 않는다.
소감
세 번째 시집 발간을 위해 사단법인 문화예술연구소에 갔는데 장종권 이사장님으로부터 리토피아 문학상에 선정됐다는 말씀에 조각칼이 제 가슴을 뚫고 들어오는 줄 알았습니다. 사랑에 대한 굶주림은 빵에 대한 굶주림보다 훨씬 더 없애기 어렵다고 합니다. 말하기와 행동하기 사이에 수없이 많은 신발이 닳았습니다. 나는 나 자신을 위해 시간을 내고 지극한 사랑과 존경심으로 대했습니다. 시인은 자라는 돌의 필요 없는 부분을 하나씩 쪼개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면 괜찮은 시를 건질 수 있다고 생각했으나 쉽지 않았습니다. 나는 산과 들이나 도심의 거리 걸을 때 존재의 순간이란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리토피아 문학상은 제게 너무 과분한 것 같아서 어깨가 묵직합니다. 욕망이 충족되면 또 다른 욕망으로 이어진다 했습니다. 욕망이란 기쁨을 절대로 놓치지 않겠습니다. 뼈 갈아 넣고 피 뿌려 쓴 시를 뽑아 주신 장종권 주간님과 백인덕 시인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막비시동인에게도 감사드립니다. 시를 쓴다는 것은 신이 제게 주신 최고의 선물입니다. 잠자기 전 내일 아침에 또 다른 시 탄생 생각하면 가슴이 울렁거립니다. 다시 고개 숙여 심사위원님과 막비시동인에게 감사 인사를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김어진(영진)
- 이전글제12회 리토피아문학상 수상자 유시연 작가 22.06.11
- 다음글제10회 리토피아문학상 수상자 박정규 시인 21.12.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