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수록작품(전체)

17호/신작특선/장종권/벚꽃 외 4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부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67회 작성일 19-07-03 13:55

본문

17호/신작특선/장종권/벚꽃 외 4편


벚꽃 외 4편


장종권



가는 겨울도 아쉬워서 마지막 흉내를 한다.
죽을 때 죽더라도 끽소리는 해야 하지 않느냐.
어머니의 간곡한 말씀이다. 터지게 살거라.





아버지ㆍ1



부모님 여의시고 형님 밑에서 사셨다. 자유롭지 못했다.
동란 중 부상으로 집에 왔다가 未歸했다. 자유롭지 못했다.
米壽에 아내 잃고 요양원에 의탁하셨다. 제발 자유 좀 다오.





아버지ㆍ2



의사가 아버지 나이를 묻는다. 아흔이시던가
아버지께 여쭙는다. 나 여든여덟 아니냐?
따져보니 여든아홉이시다. 이 지경이 되었다.





별은 별, 달은 달



별을 보아도 그것이 별인 줄만 알았다. 별이니까.
달을 보아도 그것이 달인 줄만 알았다. 달이니까.
별은 별이고 달은 달이다. 아니면 도대체 무엇이겠느냐.





그녀와 나



그녀가 오는 것은 사실은 내가 가는 것이다.
내가 가는 것은 사실은 그녀가 오는 것이다.
오고 가고 해도 그녀와 나는 영 만나지 못한다.





<시작메모>


  시가 비밀을 품고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진 적도 있다. 인간과 생명의 신비로운 부분을 노래하다보면 시 역시 신비롭지 않겠는가. 요즘은 인간이나 생명의 신비로운 세계는 강 건너 세계인 듯 보인다. 구체적인 현실과 실질적인 내용과 이성적인 판단에 의해 세상이 굴러가고 있다. 굴러가는 대로 나 역시 끌려갈 수밖에는 도리가 없다. 예술은 마루에 서 있고, 개인은 마당에 서 있다. 대문은 항상 열려 있다. 지금 안방에는 누가 있을까.





*장종권 1985년 《현대시학》 추천완료. 시집 『아산호 가는 길』 외 5권이 있음. 성균문학상 수상. 현재 계간 『리토피아』 주간.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이사장.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