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수록작품(전체)

아라시조/김월준, 조종만, 정평림, 송유나, 유현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백탄
댓글 0건 조회 7,424회 작성일 14-08-08 18:14

본문

아라시조

 

김월준

단풍 외 1편

 

 

눈부시게

물결치는

꽃바다를 보아라

 

사랑도

저와 같이

빛날 수가 있다면

 

모든 걸

다 내려놓고

그대만을 사랑하리

 

 

 

 

겨울, 봄 여름 가을

 

 

봄 여름

지나면서

가을을 생각하고

 

가을을

거두면서

겨울을 기다리며

 

눈꽃이

흐드러진 겨울

즐기면서 살다 가리

 

김월준∙1963년 <조선일보>, <동아일보> 신춘문예와, <자유문학>으로 등단. 시집 꽃과 바람과, 꽃도 말하네, 검은 땅 검은 꽃 등. 국제펜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수상. ≪월간문학≫ 주간 역임. 현재 국제펜 한국본부 고문.

 

 

 

 

조종만

자국 소리 외 1편

 

 

지난밤

머리맡에

사락사락 자국 소리

 

그 뉘가

오시는지

창문 살짝 밀쳐 보니

 

하이얀

화선지 깔고

별과 달이 놀더라.

신발들이 읽고 또 읽고, 지우고 또 지운다

 

 

 

 

청량산 등산길

 

 

청량산 솔밭자리 솔 그림자 깔고 앉아

눈앞에 망사 걸친 잠자리 곱게 뜨고

매미들 노랫소리가 귀 울음을 쫓는다.

 

 

중복 날 솔바람이 땀 닦아 시원스레

철따라 오가는 길 용하게 찾아 든다

감은 듯 저물도록 나도 따라 왔으니.

조종만∙경남 의령 출생 1960년 ≪영문≫, 1979년 ≪시문학≫으로 등단. 진주시조시인협회 창립 회장, 고문. ≪진주시조≫ 창간호 간행. 시집 회상의 무늬, 물이 빚은 노래, 나비와 꽃이야기.

 

 

 

정평림

등꽃 외 1편

 

 

제 몸뚱이

비비 틀고

등천하는 손이 있네

 

온종일 드높은 그늘,

세월 한쪽 꼬나쥐고

 

퍼렇게 꽃타래 따아

수만 꽃등 불 밝히네

 

흔들리는 5월 볕뉘

옛 판화만

되작이고

 

천야만야 벼랑 같은

이승 어느 난간에서

 

머흔 길 징검돌 놓고

흩어진 일화逸話를 줍네

 

 

 

 

백 원짜리 동전

 

 

한산섬

 

밝은 달이

 

동전만큼 둥글었나?

 

 

그 위에 새긴 초상

 

갑주조차 벗어놓고

 

지폐만

 

돈이라더냐

 

저금통 속에 빠진 장군!

 

 

정평림∙강원도 평창 출생, 미국 미시간대 대학원(이학박사), 2003년 ≪시조시학≫ 신인상 수상. 샘터시조상 수상(2003년), <전북중앙신문> 신춘문예 시조부문 당선(2004년), 제4회 열린시학상 수상(201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창작기금 수혜(2004년), 경기문화재단 문예창작기금 수혜(2013년), 시조집 거기 산이 있었네 출간(동학사, 2005년), 시조집 메밀밭으로 오는 저녁(책만드는집, 2013년), 현재 인하대 의대 대우교수.

 

 

 

 

조성문

노르웨이고등어 외 1편

 

 

낮과 같은 북극의 밤 냉동고 녹고 있다

깍지 풀린 빙하 타고

어디로 가야 하는가

뜨겁다, 어쩌지 못해

거슬러 오른 고등어 떼

 

넘쳐나는 둥둥 바다

만년설 흘러들고

얼음산 주저앉아 아무래도 아수라다

시퍼런 등짐을 지던

호랑무늬 더 아리다

 

낮은 데 잠기고 마는

오로라 실루엣 너머

좌판에서 석쇠에서

소금 몇 알 꾹 깨물다

이역 땅 밥상머리엔 반골의 눈 치뜬다

 

 

 

 

노랑부리저어새를 저어하다

 

 

우둘투둘 바다거북의 마른 등 같은 갯골 섬이면서 섬도 아닌 섬에서 길 놓치고

환절기 밑그림에서 빠져나온 저어 저어새

 

릴낚시 드리우는 눈썹달 유수지에 미늘 꿀꺽 집어삼킨 쓰라린 속 어루만지다

한뎃잠 그물에 걸린 긴 외다리 아찔하다

 

끗발 선 개발 바람 썬 물살 우는 소리 구둣주걱 노랑부리 허리 굽혀 헤집다가

갈대밭 더벅머리 한 아재들이 그만 간다

 

조성문  전남 함평 출생. 200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 21세기시조 동인

 

 

 

 

송유나

봉평, 하얀 꽃밭 외 1편

 

 

평창강가 산들머리 겨울잠은 깨어났다

솔수펑 제쳐내고 메밀들이 각질 터는

흙냄새 채 가시기 전

밀어 올리는 얼굴들

 

가만가만 다가서며 토담집 모퉁이 돌아

아직 의지하고 산다는 노부부를 만난다

메밀전 내놓으시며

어서 드시라, 건네는 오후

 

함께 살아온 지 쉰아홉 해가 되었지만

“여전히 둘뿐이여, 두 손 꼭 잡는 깊은 위로

떡가루 뿌려놓은 듯

하얀 꽃밭 걷고 싶다

 

 

 

 

동지 즈음

 

 

콧등 내놓자 바로 어는

쩍쩍 달라붙는 이른 아침

 

발자국 따라 쩡 울리고 거리는 찬바람 뿐

 

짧은 낮

서릿발 살 에는 시간,

너에게로 다가선다

 

송유나∙경기 화성 출생. 2008년 ≪월간문학≫으로 등단. 2003년 ≪문학저널≫ 신인상. 2004년 설록차문학상. 을지대학교 출강. 노인복지시설장.

 

 

 

 

유현주

아버지의 방 외 1편

 

 

어머니 대엿새 내 집에 계실 동안

아버지 물끄러미 빈방을 지키셨네

언제나 문이 열릴까 무료한 눈빛으로

 

더 있다 가시라고 소매 끝 붙들어도

아버지 외롭다고, 눈에 밟혀 안 된다고

끝끝내 잡아 빼시던 가여운 어머니여

 

여닫이 열자마자 사진을 쓸어보며

혼자만 댕겨와서 미안하다 되뇌는데

괜찮다, 말씀하시며 생전처럼 웃으시네

 

오늘 밤엔 도란도란 며칠 쌓인 이야기가

불 꺼진 방안에서 동화처럼 흐르겠네

대답이 달빛을 타고 두 가슴을 적시겠네

 

 

 

 

상족암을 지나다가

 

 

책들이 차곡차곡 가로로 쌓여있다

 

수억 년 바람이 적어놓은 연대기

 

함부로 열지 못하고 냄새만 맡아본다

 

 

빛과 어둠이 엇갈려 기록되고

 

여름과 겨울이 순서대로 꽂혀있다

 

바다의 깊이까지도 재 놓았을 서책들

 

 

사람이 보면 안 될 천기가 들었을까

 

한 장도 허락 않는 육중한 말씀들을

 

공룡이 읽고 갔는지 발자국 선명하다

 

유현주∙2010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당선.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