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수록작품(전체)

창간호/신작시/이희원/혀의 집 외 1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백탄
댓글 0건 조회 3,453회 작성일 14-03-05 16:35

본문

이희원/혀의 집 외 1편

 

 

임팔라의 비굴한 웃음 속, 울음을 들어 올리는 턱을 본다. 사각의 링 속, 흘러내리는 피눈물을 붙잡던, 수놈을 유혹하기 위해 요즈음 암컷들은 톱질도 한다는, 가끔은 생명 없는 백지도 날카로운 턱으로 손을 문다.

 

아침이면 턱을 앞세워 도시로 떠나고 도시는 늘 우리를 궁핍하게 했다. 가끔은 턱이 외로워 보일 때도 있다. 그날은 혀가 턱을 떠난 날, 먹구름이 옥탑 방을 덮고 아마도 아침신문이 배달되지 않던 날일 게다, 날마다 진화해온 턱은 그대의 피 한 방울 훔치지 않고 우리를 무릎 꿀린다. 미추를 퇴화시키던 1백만 년 전의 탁월한 선택, 추 간판의 고통을 예감했어야 할 것이네.

 

무슨 원숭이의 이념이 동료들을 향해 턱을 세우게 하는가?

 

거대한 빌딩의 이빨과 우람한 문턱에서 떨어지는 침, 그 앞에 힘없이 툭, 툭 떨어지는 혀의 집들이 있다.

 

 

 

 

곡립曲立

 

 

내 혀는 취약하다

뇌혈관이 왼쪽으로 쏠리는 순간,

 

생각할 틈도 없이

총알처럼 튀어 나가는 말들,

 

허기에 굶주린 내 혀는

황금 식탁과 샥스핀을 동경했다.

 

입술 끝에는

나를 밀치며 간 시뻘겋게 번진 루주,

 

내 혀는 하늘 향해 깨금발을 올리나

자꾸만 넘어지고,

한땐, 나도 저 윗가지에 입술을 찍고 싶었다.

 

순간, 누군가 달디 단 입술을 들이밀자

중심을 잃고 휘청거리는 혀.

 

나는 삐걱거리는 추를

곧추세우고 고릴라처럼 나아간다.

 

미추尾椎가 간질거리기 시작했다.

내 혀를 떠난 말들은

굽어지다 못해 게걸음으로 파행爬行한다

 

직립直立은 아직도 내겐 진행형일까?

 

이희원∙2007년 ≪시와세계≫로 등단. 공동시집 오거리.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