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도서
불온한 시대와 공존하기/강경희 평론집(리토피아신서 08)
페이지 정보

본문

리토피아신서․8
불온한 시대와 공존하기
초판1쇄 인쇄 2008. 11. 26.|발행 2008. 12. 1.
지은이 강경희|펴낸이 정기옥|펴낸곳 리토피아|
ISBN-978-89-89530-89-3 03810
값 12,000원
1.프로필
강경희(姜敬姬) 문학평론가는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숭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문화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기계적 상상력이 빚어낸 허무적 나르시시즘」으로 등단했다. 현재 계간『리토피아』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저서로『타자의 언어학』『표류와 유출의 상상력』이 있다. 숭실대 및 산업대에서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2.차례
1부 위반과 경계의 언어
자본주의의 그늘과 경계를 허무는 몸짓 11
―새로운 리얼리즘을 위하여
실재의 자연과 허구의 자연이 만든 인간의 풍경 28
―현대시와 자연풍경
해체적 사유와 탈정치성의 행보 41
―이천 년대 시의 탈정치성
모순으로 말하기, 모순에서 숨쉬기 55
―모순의 존재론
서정으로의 복귀 71
―젊은 시인들의 서정적 상상력
2부 세계 탐구의 시
과학적 시선으로 해부된 세계 89
―이상의 시에 나타난 도형성
1970년대 서정성의 양상 101
―민중시와 도시시에 반영된 자연관을 중심으로
소멸에 관한 철학적 명상 116
자연의 거울에 비친 인간의 초상 130
‘비(雨)’의 변주곡 145
3부 시적인 삶, 미적인 시
결곡한 시와 시인의 노래 161
―이향아의『꽃들은 진저리를 친다』
가난한 청춘의 블루스여 174
―김경숙의『붉은 악보』
바람에게 길을 묻다 185
―김미지의『문』
죽음 속에 은폐된 생명의 의지 198
―이동호의『조용한 가족』
눈부신 문장이 되는 세상,가장 짧은 말 210
―박정애의『가장 짧은 말
3. 머리말
버리지 못하는 버릇 중 하나가 진지함이다. 모든 것이 쉽게 소모되고 폐기되는 세상인데 여태껏 진지함을 보석처럼 생각하고 살았다. 더럽고 무거운 공기, 오염된 말들과 냉소적 시선들이 나를 끊임없이 밀쳐낸다. 내가 파 놓은 함정이 나를 벗어나지 못하게 만든다. 자신이 세운 삶의 원칙들은 고수固守하기보다 파기破棄하기가 더 어렵다. 변화가 두려운 것은 모든 원칙들을 다시금 재조정해야 되기 때문이다.
90년대를 어제처럼 감각하는 세대에게 2000년대의 윤리는 버겁다. 과도한 현실의 파고가 존재를 위협할 때 삶은 흔들린다. 세계의 파도에 편승할 것인가? 아니면 침몰할 것인가? 방관과 관조를 허락하지 않기에 삶은 언제나 가담의 방식을 택할 수밖에 없다. 나의 시 읽기는 불온한 시대와 공존하려는 어쭙잖은 몸부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러한 진통의 현실만이 나의 존재성을 유일하게 확인시켜주는 방법이었다.
현실에 도전하는 것과 현실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 크게 다를지 않음을 2000년대의 시의 문법은 보여준다. 싸움이 공허한 것이 되고, 위반이 반역에 이르지 못할 때 존재는 허덕이게 된다. 변화의 징후가 대안의 자리를 제공하지 못할 때 우리는 그것을 위기로 진단한다. 문학의 위기가 문학을 살찌우는 오늘의 기이한 풍경이 낯설지 않는 것은 위기의 인식이야말로 스스로를 재무장하게 만드는 원동력이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의 위기는 미래의 토양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오래된 신념은 당분간 지속될 듯하다.
최근 시단은 미학적 갱신을 위한 자기반성과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70년대와 80년을 가로질렀던 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전면적 문제 제기, 근대와 탈근대의 경계 지움, 탈정치성의 사유와 시의 윤리성에 대한 고민들은 모두 오늘의 시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들이다. 주체의 윤리가 설자리를 잃은 이 혼돈의 시대에서 새롭게 시의 원적原籍을 헤집는 이유는 무엇일까? 거칠게 밀어닥치는 불온한 세계의 항로를 막는 것은 불가항력이다. 하지만 싸움의 형식이 끊임없이 제기될 때 부정과 기만의 얼굴은 베일을 벗게 된다. 언제나 그랬듯이 문학은 균열의 방식으로 타락한 세계에 흠집을 내는 것이다.
내가 지켜왔던 진지함의 습성이 시대착오적인 맹목이 되지 않기 위해서 나는 다시금 진지함을 문제 삼는다. 천천히, 깊이, 전체를 사유하는 이 낡은 방식은 ‘바로 보기’를 가능하게 하는 열쇠가 아닐까 싶다. 내 비평이 헛된 시늉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나는 또 집요한 시간과의 싸움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이번 평론집을 묶으면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늘 같이 있어도 함께 하지 못하는 가족들에게 미안함과 고마움을 전한다. 특히 장종권 시인께 감사를 드린다. 금쪽같은 시간을 내 비평집을 위해 기꺼이 헌납해준 노고에 깊은 고마움을 올린다.
2008년 11월
강경희
4. 본문 발췌
자본주의의 그늘과 경계를 허무는 몸짓
―새로운 리얼리즘을 위하여
1. 90년대 이후 리얼리즘의 양상
문학의 용법에서 ‘리얼리즘’이라는 말의 사전적 정의는 “삶의 조각(斷片) 즉 현실의 정확한 표상(Representation)을 제공하는 픽션(Fiction)의 방법, 혹은 형식이다.”
이러한 개념 규정은 매우 복잡하고도 광의적 의미로 읽힐 수 있다. 먼저 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입장과 견해 차이, 즉 텍스트에 대한 인식 방법에 따라 리얼리즘 문학의 범위와 성격은 달라지게 된다. 다음으로 세계 재현(Presentation)의 원칙과 방법이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충실히 반영’하는가, 혹은 ‘허구(Fiction)’에 비중을 두고 있는가에 따라 리얼리즘에 대한 태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문학은 본질적으로 작가에 의해 현실이 재가공되는 ‘픽션’의 양식이다. 따라서 가공된 현실이 리얼리즘적인가라는 판단 기준은 다소 모호할 수밖에 없다. 범박하게 말해 현실의 재현, 모사, 반영을 중심에 둔 것이 리얼리즘 문학의 실체라 할 때, ‘과연 무엇을 현실로 규정할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 물음이 제기된다. 뿐만 아니라, 루카치의 지적대로 리얼리즘 문학이 외형적 현상을 그대로 그리는데 목적을 두기보다는, 내재적이고 본질적인 핵심을 구현하는 전체성의 양식이라고 할 때, 어떠한 문학이 “사회관계들의 복합적 인간관계”를 들어내는 적합한 리얼리즘인가라는 문제가 도출된다. 리얼리즘의 개념, 구현 방식, 세계관에 대한 논의들은 리얼리즘에 대한 정당한 인식과 평가를 산출하기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추천0
- 이전글한국영화, 중독과 해독/강성률 영화평론집(리토피아신서 09) 08.12.04
- 다음글살아있는 말들의 대화/강경희평론집(리토피아신서 07) 08.12.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