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발간도서

영화 비평 현실 제2집/젊은영화비평집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백탄
댓글 0건 조회 3,888회 작성일 05-01-10 22:58

본문



영화 비평 현실 제2집/젊은영화비평집단
2004년 12월 23일 인쇄
2004년 12월 30일 발행
발행인|곽영진
발행처|젊은영화비평집단
편집위원|김시무 이명인 황영미
편집장|강성률
펴낸곳|리토피아
표지디자인|이성희
본문디자인|황희순
ISBN 89-89530-44-X 04680
•이 책은 영화진흥위원회의 제작비 지원을 받아 출간하였습니다.

1.프로필


2.차례
6  editorial․강성률|젊고 도전적인 비평
특집-독립영화를 보는 눈
영비집의 시선, 4인 4색
10  이명인|노동석 감독의 <마이 제너레이션>
15  강성률|조성봉 감독의 <레트 헌트 2>
31  정영권|김동원 감독의 <송환>
27  문학산|김이다 감독의 <여름, 위를 걷다>
32  이현정|다큐멘터리가 할 수 있는 것, 하고 싶은 것, 하게 되는 것
49  현승훈|디지털 독립영화의 대안 배급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
59  인터뷰․최진성VS이명인|‘쎈’ 영화를 찍고 싶다
쟁점과 비평
85  강한섭|한국영화산업의 경쟁력과 스크린쿼터의 효용성
99  강성률|가려진 베일을 벗기고 정면을 응시하며
122  황혜진|남성 중심적 영화와 비평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이슈와 현상-2003~4년 한국영화계의 주요 흐름
137  심영섭|2004 한국 공포영화 위기, 원인 진단
147  류상욱|역사를 다룬 한국영화들
154  손성우|한국영화를 생각하는 기억의 두 방식, 노스탤지어와 메멘토 모리
161  김정숙|최근 영화를 통해 다시 생각하는 여성들의 관계지향성

영비집 선정 ‘베스트 한국영화 7’
172  송  준|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
177  염찬희|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
182  이지선|김동원 감독의 <송환>
187  곽영진|김기덕 감독의 <빈집>
197  황영미|홍기선 감독의 <선택>
202  정혜경|임상수 감독의 <바람난 가족>
207  이주연|김기덕 감독의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기획-영화와 종교, 그리고 문학
212  황영미|정죄를 넘어선 구원의 서사-김기덕 영화 기독교적 읽기
225  조정래|물을 건너는 세 가지 과정-김기덕 영화 불교적 읽기
240  함종호|시와 영화의 상관성
집중조명-김지운 감독
262  김시무|김지운, 웃음과 공포의 경계를 넘나든 사람
282  인터뷰․김지운VS전찬일|
              “내 영화의 주제는 삶의 아이러니와 소통의 부재, 어긋남”

3.권두언
이제는 확고한 영상의 시대가 된 것 같다. 영화가 대중문화의 중심이라는 것을 의심하는 이들은 별로 없어 보인다. 바야흐로 우리는 비쥬얼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넘쳐나는 영화의 시대에 영화비평의 운명은 고사 직전에 있다고 해도 과장이 아닌 상황이 되어버렸다. 온갖 영화정보는 넘쳐나지만, 정작 쓸모 있는 정보는 별로 없는 것이 디지털 매체 시대의,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사람들은 더 이상 비평을 원치 않는다. 그들은 단지 정보를 원할 뿐이다. 이제 비평은 어디로 갈 것인가.
젊은영화비평집단(이하 영비집)은, 이러한 시대에도 (아니 이러한 시대일수록 더욱) ‘젊은’ ‘비평’ 집단이기를 기원한다. ‘젊은’ 비평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기존의 제도권 비평과 차별되는 비평을 말할 것이다. 현실 문제에도 깊이 개입하고, 새로운 문제 의식을 토대로 싱싱한 젊음의 비평을 추구하는 것이다. 영비집은 그런 길을 걸어왔다고 생각한다. <거짓말> 사태가 발생했을 때 토론에 임한 것도 다름 아닌 영비집이었다. 현실적 문제에 대해 성명서를 발표하고 누구보다 치열하게 싸운 것도 바로 영비집이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영비집은 비평을 하는 집단이고자 한다. 도전적 문제 의식을 가지고 패기 있고 진취적으로 문제에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젊은 비평을 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기존의 제도권과 다른 젊은 목소리는 어떤 목소리인가? 창간호가 발간된 지 2년 만에 나온 ≪영화/비평/현실≫ 2호에서 가장 고민한 것은 바로 이 부분이었다. 숱한 매체와 잡지에서 하고 있는 비평과 동일한 목소리가 아니라 젊은 비평의 목소리를 내고자 했다.
특집이 ‘독립영화를 보는 눈’이 된 것도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이 독립영화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2004년 평균 영화 제작비가 40억 원을 넘고, 멀티플렉스가 우후죽순처럼 들어서고, 연간 영화 관람객이 1억2천 명을 넘는 이 풍요로운 시대에, 오히려 우리는 영화적 상상력으로만 승부하는, 가장 도전적인 목소리를 내야 할 독립영화에 주목했다. 비대해지는 주류 영화가 점점 ‘돈의 경제학’에 휘둘리고 있을 때, 역으로 그런 것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영화를 만드는 독립영화에 주목한 것이다. 정치 경제적 문제, 독립 영화의 배급 방식, 인디 감독과의 허심탄회한 대화 등을 이번 호에 실었다. 이 글들이 진정으로 독립영화 발전에 기여하는 글들이 되었으면 좋겠다.
쟁점과 비평에서는 세 편의 글을 실었다. 강한섭 교수의 글은 「영화문화의 다양성 증진 방안」이라는 제목으로 10월 22일 영비집이 개최한 포럼의 발제문이다. 원래 발제문을 모두 실으려고 했으나 지면 부족도 있고, 발제문의 특성상 원고가 거친 관계로 강 교수의 글만 게재한 것이다.(모든 원고를 게재하지 못한 점 아쉽게 생각한다.) 특유의 도전적인 문제의식과 발랄한 문체로 강한섭은 한국영화의 거품과 스크린쿼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하고 있다. 이외에도 민족감독이라고 불리는 전창근 감독의 일제 말기 친일행적을 고찰하는 글과 가부장적으로 진행된다는 한국영화 담론을 해부하는 글도 있다. 지금 진행되는 산업의 문제, 친일 영화에 대한 문제, 비평 담론의 문제 등을 도전적이면서 진지하게, 골고루 고찰했다.
영비집은 2003년과 2004년의 한국영화 가운데 베스트를 선정했다. 이 코너는 회원들의 참여를 통해 선정하는데, 이번에는 <올드보이> <살인의 추억> <송환> <빈집> <선택>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바람난 가족> 등이 베스트 7을 형성했다. 선정된 절반 이상의 영화가 저예산 영화면서 매우 독창적이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영비집의 베스트는 영비집의 성향을 보여주는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집중 조명은 ≪영화/비평/현실≫이 가장 주력했던 꼭지이다. 이 꼭지는, 거품의 여지는 있지만, 지금 한국영화의 중흥기를 이끌고 있는 젊고 패기 있는 감독의 작품세계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자 했다. 대부분의 저널에서는 2~30매의 작가론과 인터뷰를 시도하지만, 우리는 그것으로는 그들의 작품세계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100매의 작가론과 250매의 인터뷰를 게재했다. 국내에서 간행된 그 어느 글보다도 김지운 감독을 이해하는, 깊은 글이라고 감히 자부한다.
≪영화/비평/현실≫2호는 이 외에도 다양한 읽을거리로 채웠다. 넘쳐나는 저널의 시대에,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시대에 있으나마나한 책이 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그것이야말로 영비집의 존재 의의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능력 없는 사람이 편집장을 맡으면서 황송하게도 옥고들을 먼저 보는 기쁨을 누렸다. 원고 하나하나 자세히 보면서 희열과 즐거움을 누릴 수 있었다. 옥고를 쓰느라고 수고한 모든 필자들께 이 지면을 빌어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그리고 이 책을 위해 같이 고생해 준 김시무․이명인․황영미 편집위원, 곽영진 회장께도 감사의 말씀 전한다.

2004년 세모에, 편집장 강성률

4.본문 발췌
【특집】독립영화를 보는 눈
|영비집의 시선, 4인 4색|

노동석 감독의 마이 제너레이션(2004)
당신들에게 나의 세대에 관한 진정한 용기를 보여주마
이명인|영화평론가

‘푸른영상’에서 얼마간 활동을 했고, ‘보임’에서 일련의 여성주의와 내셔널리즘의 문제 제기에 관한 작품들을 만들어 온, 독립영화계의 왕언니쯤 되는 변영주 감독이 여성의 욕망에 관한 첫 번째 장편영화 <밀애>에 이어, 열아홉 아이들에 관한 두 번째 영화 <발레교습소>를 찍었다. <발레교습소>를 비롯하여 개봉대기 중인 영화들의 목록에도 청춘영화들이 많아졌다. <말죽거리 잔혹사> 같은 회고와 노스탤지어를 가미한 영화까지 합친다면 지금 충무로는 분명 회춘 중이다. 특히 뭔가 의식이 있다고 기대되는 감독일수록 청춘시대에 대한 정서가 꽤 깊어 보인다.
<발레 교습소>에는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는 모든 이에게 건투를 빈다!”는 상업영화에서는 좀처럼 쓰지 않고 있는 뒤떨어진 홍보 문구가 쓰였다. 진정성을 담으려 했다는 변영주 감독의 연출의 변에 걸맞게 영화는 순간순간은 빛나고, 또 순간순간은 맥 빠진다. 영화 속 이 균열과 갈등은 소위 진정성이라고 말해지는 영화의 정신과 상업적 룰이 빚어내는 결과물이며, 정말 솔직하게 말하자면 여기까지가 상업영화가 현재의 청춘을 다루는 방식의 한계라고 보인다. 사정이 이러한데 이 시대에 상업적 타협 없이 만들 수 있는 유일한 영화가 있다면, 바로 노동석 감독의 <마이 제너레이션>을 들 수 있을 것이다.

5.•젊은영화비평집단(영비집 Young Film Critique Group)활동연혁
  http://club.nate.com/cineforumgroup

1998.  4. 10 영비집 발족을 위한 제1차 예비모임
1998.  5.  1 영비집 발족을 위한 제2차 예비모임
1998.  6.  1 영비집 발족식 (제1차 정기모임)
1998.  6.        영화마을 1천만 원 지원 대상 단편영화 선정
1998.  7.  7 제1회 포럼 : ‘한국 독립·단편 영화의 현주소와 전망’
1998.  8.  1 1998 고딩영화제 주제토론회 주관 및 제작 지원 작품 선정-주제 : ‘청소년 영화의 비판적 수용을 위하여’
1998.  9. 16 제2차 정기모임
1998.  9.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 ‘감독과의 대화’ 및 ‘야외무대’ 진행
1998. 10. 14 ≪스크린≫ 주최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 평가 좌담회’
1998. 11.        서울영화제 후원
1998. 11. 25 제2회 포럼-주제 : ‘영화에서의 표절과 일본영화 개방’
1998. 12. 10 정기총회
1999.  3.  2 봄 정기모임
1999.  4. 28 제1차 토론회-주제 : ‘내러티브를 상실한 한국영화’
1999.  4. 28 임시총회
1999.  6.        제2차 토론회-주제 : ‘국제영화제에 관하여’
1999.  7.        여름 정기모임
1999. 10.        가을 정기모임
1999. 10.        제3회 포럼-<거짓말> 관련 ‘표현의 자유’ 국제 포럼 개최(제4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 중)
1999. 12.        임시총회
2000.  1. 20 정기총회
2000.  1.        영화 <거짓말> 사태에 대한 성명서 발표 및 공청회 참가
2000.  6.        여름 정기모임
2000.  7. 14 제4회 포럼-주제: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대안영화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2000.  9. 22 가을 정기모임
2000. 11.  7 임시총회
2001.  1. 19. 정기총회
2001.  3. 19. 봄 정기모임
2001.  3. 19. 토론회-주제 : ‘영화비평’
2001.  5. 24. 제5회 포럼-주제 : ‘21세기, 영화와 비평’
2001.  7. 11. 여름 정기모임
2001.  7. 11. 좌담회-주제 : ‘2001년 상반기 한국영화를 돌아보며’
2001.  9. 26. 가을 정기모임
2002.  1. 18. 정기총회 및 임원단 선출 
2002.  7. 10. 정기모임 및 ‘영비집의 역할과 한계’에 관한 내부 포럼
2002.  7.        ≪영화/비평/현실≫(무크지) 창간호 출간
2002.  7. 25. 출판기념회
2002.  7. 27. <죽어도 좋아> 제한 상영 등급 결정에 대한 성명서 발표
2002.  7. 31. <죽어도 좋아> 특별 시사회 및 토론회 주최
2003.  1. 24. 정기총회 및 임원단 선출
2003.  4. 10. 임시총회 및 회칙 개정 
2003. 12. 16. 제6회 포럼 ‘작은영화 어떻게 살릴 것인가’ 및 제1회 페스티발 ‘작은영화제’
2004.  7. 20. 특별총회 및 회장단 선출
2004. 10. 22. 제7회 포럼 ‘한국 영화문화의 다양성 증진 방안’
2004. 12. 30. ≪영화/비평/현실≫(무크지) 제2호 출간
추천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