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발간도서

윤선애 윤지원 박근혜 김민선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리토피아
댓글 0건 조회 131회 작성일 24-12-02 16:54

본문

58ed32512a5deebb22d08be874e4a225_1733125453_5921.jpg
 

리토피아신서 26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

인쇄 2023. 11. 13 발행 2023. 11. 15

지은이 윤선애 윤지원 박근혜 김민선  펴낸이 정기옥

펴낸곳 리토피아

출판등록 2006. 6. 15. 제2006-12호

주소 21315 인천광역시 부평구 평천로255번길 13, 부평테크노파크M2 903호

전화 032-883-5356 전송032-891-5356

홈페이지 www.litopia21.com 전자우편 litopia999@naver.com


ISBN-978-89-6412-191-7 02590


값 20,000원



1. 저자

윤선애

현) ㈜ 윤선애 Creative Lab. 대표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과 색채패션디자인 박사


윤지원

현) 부천대학교 섬유패션비즈니스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박근혜

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연구부문 선임기술원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김민선

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연구부문 포스트닥터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강사

    한서대학교 디자인융합학과 강사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박사



2. 자서




3. 목차


목차


P.1

0.

들어가면서

패션이란


P.3

Ⅰ.

디자인 프로세스 1

정보수집 및 분석

1.1 데이터분석

1.2 크리에이티브 아이디어 발상


P.51

Ⅱ.

디자인 프로세스 2

디자인 콘셉트

2.1 시즌 테마

2.2 이미지 맵

2.3 컬러 맵


P.69

Ⅲ.

디자인 프로세스 3

디자인

3.1 디자인

3.2 도식화

3.3 작업지시서


P.137

Ⅳ.

디자인 프로세스 4

2D 패턴

4.1 상의 원형 패턴

4.2 디자인 응용


P.149

Ⅴ.

디자인 프로세스 5

3D 가상의류 제작 & 패턴 수정

5.1 3D 가상의류 제작_원피스

5.2 3D 가상의류 제작_재킷

5.3 코디네이션


P.215

Ⅵ.

디자인 프로세스 6

3D 디자인 응용


6.1 디자인 응용 Ⅰ

6.2 디자인 응용 Ⅱ

6.3 디자인 응용 Ⅲ



4. 평가

패션디자이너들이 제일 처음 옷을 스케치한 후 그것을 옷으로 만들어 내는 과정은 아주 다양하다. 프로젝트 개념의 한 벌 디자인에서부터 브랜드에서 한 시즌에 필요한 수십 벌 아이템에 이르기까지 그 방법은 다양해 보이지만 창조적인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여 완제품 옷이 완성되기까지 옷이 만들어진 순서는 거의 비슷하다. 먼저 디자인을 하려면 주제(Theme)가 정해져야 하는데, 주제가 정해지기 전에 분석 팀에서는 글로벌 환경, 트렌드, 마켓, 유행 예측 색채들을 분석하며 그 자료들을 토대로 아이디어 발상법인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아이디어 스케치 등의 작업을 통하여 시즌 콘셉트(Season Concept)를 설정한다. 콘셉트에 맞게 스타일 포지셔닝(Style Positioning)을 하고, 시즌 테마(Season Theme), 이미지 맵(Image Map), 컬러 맵 (Color Map)을 만든다. 그 다음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그에 어울리는 스타일 디자인을 한 후, 소재, 원단, 부자재 등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식화를 통해 작업 지시서를 작성한다. 그리고 2D와 3D패턴을 거쳐 봉제를 하면 옷이 완성된다. 매우 간단해 보이는 과정이지만 이 모든 과정에는 무수한 스텝들의 노고가 함축되어있다. 물론 회사 규모에 따라 이 과정을 가감할 수도 있고 회사 상황에 따라 공정이 뒤바뀔 수도 있겠지만 비교적 이 순서대로 옷이 만들어진다. 이 단원에서는 옷이 만들어지는 그 과정 중 첫번째인 데이터 분석 방법과 아이디어 발상법에 대해 배워 보기로 하자.



5. 본문

0. 들어가면서

패션이란?


패션은 산업, 사회, 문화, 경제 측면에서 다양하게 정의를 내릴 수 있는 단어이다. 패션의 어원은 라틴어 ‘facere(파카레)’ 에서 나왔으며 그 의미는 ‘하다, 만들다’ 이다. 이것이 프랑스어 파숑(fachon)등으로 변천해 가면서 요즘 사용되고 있는 ‘패션’으로 정착하기에 이른다. 옥스퍼드 사전에서 패션은 ‘특정 시간이나 장소에서 유행하는 옷, 머리 등의 스타일; 또는 인기 있는 상태’로 정의되고 있다. 이는 ‘주어진 일정 기간 내에 일반인에 의해 선호되는 의복 형태를 의미한다.’ 라는 의류산업에서의 패션 정의와 같다. 사회학적 측면에서 패션이란 사회 구성원들의 집단적인 상호작용의 표현 수단 또는 자신의 내적인 상태를 표현하는 강력한 수단이다. 경제학적 측면에서 패션이란 현재 시장에서 유행하고 팔리고 있는 의류나 스타일이다. 이처럼 다양한 그룹들이 패션을 조금씩 다르게 정의하고 있지만, 디자인, 생산, 유통, 마케팅, 판매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수백억 달러 규모의 사업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는 패션이 소비품이고 최근에는 다양한 포털(Portal Site)과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발달로 사이클이 과거보다 더 짧아지고 있는 만큼 그 규모와 다양성은 다른 산업과 비교해 훨씬 더 세분되고 있다.


Q/A

1. 당신이 생각하는 패션은 무엇입니까?

2. 당신은 어떤 스타일 옷을 지금 입고 계십니까?


3. 당신이 지금 입고 있는 스타일이 당신에게 가장 어울린다고 생각하십니까?


I. 디자인 프로세스 1

정보수집 및 분석


패션디자이너들이 제일 처음 옷을 스케치한 후 그것을 옷으로 만들어 내는 과정은 아주 다양하다. 프로젝트 개념의 한 벌 디자인에서부터 브랜드에서 한 시즌에 필요한 수십 벌 아이템에 이르기까지 그 방법은 다양해 보이지만 창조적인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여 완제품 옷이 완성되기까지 옷이 만들어진 순서는 거의 비슷하다. 먼저 디자인을 하려면 주제(Theme)가 정해져야 하는데, 주제가 정해지기 전에 분석 팀에서는 글로벌 환경, 트렌드, 마켓, 유행 예측 색채들을 분석하며 그 자료들을 토대로 아이디어 발상법인 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아이디어 스케치 등의 작업을 통하여 시즌 콘셉트(Season Concept)를 설정한다. 콘셉트에 맞게 스타일 포지셔닝(Style Positioning)을 하고, 시즌 테마(Season Theme), 이미지 맵(Image Map), 컬러 맵 (Color Map)을 만든다. 그 다음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그에 어울리는 스타일 디자인을 한 후, 소재, 원단, 부자재 등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식화를 통해 작업 지시서를 작성한다. 그리고 2D와 3D패턴을 거쳐 봉제를 하면 옷이 완성된다. 매우 간단해 보이는 과정이지만 이 모든 과정에는 무수한 스텝들의 노고가 함축되어있다. 물론 회사 규모에 따라 이 과정을 가감할 수도 있고 회사 상황에 따라 공정이 뒤바뀔 수도 있겠지만 비교적 이 순서대로 옷이 만들어진다. 이 단원에서는 옷이 만들어지는 그 과정 중 첫번째인 데이터 분석 방법과 아이디어 발상법에 대해 배워 보기로 하자.


1.1 데이터 분석 

(1) 글로벌 환경 분석

일반적으로 글로벌 환경 분석은 단어가 가진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전 세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들을 분석하는 것인데, 이런 문제들이 패션 산업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20~2022년 세계 경제가 COVID-19로 휘청거리다 못해 쓰나미를 맞았는데,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이 바이러스 감염증은 산업, 경제, 문화, 교육 등 사회 전반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을 만들었다. 이것은 사스(SARS)나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때보다 그 위력이 더 강력하여 비단 경제적인 측면 뿐 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COVID-19는 사람들의 소비 패턴을 변하게 만들었고, 기존과 다른 산업들이 성장하였다. 예를 들면, 많은 일들을 집에서 몬든 문제를 해결해야 했기 때문에 집에 대한 선호도가 변하였고, 재택근무를 위해 거실을 사무실처럼 꾸미는 인테리어 사업이 활성화 되었으며, 밖에서 외식하는 것 대신 간편히 요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밀키트 등장, 오프라인 마켓보다 온라인 선호로 인해 쿠팡이나 홈쇼핑을 통한 물품 구매 증가, 이 물품들을 배달하는 배달 사업 확장, 영화관을 찾는 대신 넥플릭스(netflix), 아마존 프라임 (Amazon Prime), Disney+, 애플 TV+(Apple TV+)와 같은 OTT 사업 확장 등 사람들은 기존의 소비를 안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발빠르게 대처처를 찾았다. 넥플리스 같은 경우 한달에 서비스 구독료가 일만 원대 임에도 불구하고 2023년 6월 기준 2억3250만 명이 가입하였고, 이는 기존의 콘텐츠가 불법으로 유통되었던 것들을 양성화 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또한 배달 시장이 커지자 일회용 포장용품 사용으로 쓰레기가 많이 배출되어 생활용 쓰레기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결국 환경 문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의 변화 때문에 지구촌 곳곳에서 자연 재해가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 상황에 대해 알 수 없는 불안함을 느끼고 있다. 이런 변화들이 COVID-19 발생 당시 패션 마켓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 회사에 출근하거나 외출을 위해 옷을 구매했던 사람들이 정장보다 좀 더 편안한 옷을 찾게 되고, 온라인으로 옷 구매를 더 선호하다 보니 Online Exclusive 의류를 따로 기획해서 판매하는 브랜드가 점차 늘어났었다. 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상품 구매한 소비자가 증가하다 보니 판매자들은 좀 더 다양한 상품을 준비해야 되고, 같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최저 가격이 실시간 확인 가능한 시대가 도래하여 판매자들은 더 치열한 경쟁 속에 놓이게 되었다. 의류 시장뿐 만 아니라 뷰티 시장도 힘든 것은 마찬가지였다.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사람들이 립스틱, 볼 터치 같은 색조 화장품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었지만, 2023년 현재는 코로나가 종식된 상황으로 사람들이 마스크를 벗으면서 립스틱, 볼 터치 같은 색조 화장품 매출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변화는 제품을 생산해 판매하는 산업 분야에서 예측 불가 요소들이다. 자연재해, 기후 변화, 세계 경제와 국제 정치적 이슈(issue), 새로운 신기술 개발 등 무수한 요소들을 상품 제작 전에 분석해야 하는데 갑자기 발생한 COVID-19 같은 이슈에 대해서는 발빠른 후속 대처만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산업 분야에서는 말하고 있다. 위에서 간단히 살펴본 것처럼 글로벌 환경의 변화에 맞게 각 산업 분야에서는 디자인, 마케팅, 판매 등의 방향이 변하게 된다. 본인이 지금 막 시작하는 일인 기업이기 때문에 여력이 없어서 글로벌 환경까지는 신경 쓰지 않겠다고 한다면 큰 실수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일인 기업일수록 그 타격을 가장 먼저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문가들이 분석하는 분석 프로그램은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기본적인 것은 검색하고 살펴볼 줄 알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필요한 빅데이터 자료를 수집하여 알(r), 파이썬(Python)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분석하기도 하지만, 이런 전문적인 프로그램 외에도 google trend, KWFinder, naver datalab, sometrend, odpia 같이 일반인들도 접근할 수 있는 트렌드 분석 사이트가 있다. 이 사이트들은 이미 분석해 놓은 데이터를 검색하는 수준이다. 그래서 마케팅 실무자들도 종종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들이다. 이 사이트들의 특징은 이미 빅테이터를 이용해서 분석해 놓은 것이라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환경에 관한 자료를 수집 & 분석 할 때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각 회사에서는 여전히 JP모건이나 골드만삭스 같은 투자 은행들이 발간하는 리포트를 참조하기도 하고, 각종 언론 매체 자료 분석들을 재가공하여 자신의 회사에 알맞게 자체적 글로벌 환경 변화 대처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있다. 글로벌 환경 분석은 비단 대기업이나 해외 영업을 하는 기업들 외 내수 판매를 하는 일인 기업들에게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 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촉각을 세우고 지켜봐야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