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발간도서

강우식 손바닥시 시집 '무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리토피아
댓글 0건 조회 119회 작성일 25-03-04 14:51

본문

38b97dd23ff9ed1135867b1b17684edf_1741067451_7447.jpg
38b97dd23ff9ed1135867b1b17684edf_1741067462_2458.jpg
 


리토피아포에지·160

강우식 손바닥시 시집 

무심無心

인쇄 2024. 1. 20 발행 2024. 1.25

지은이 강우식 펴낸이 정기옥

펴낸곳 리토피아

출판등록 2006. 6. 15. 제2006-12호

주소 21315 인천광역시 부평구 평천로55번길13, 903호

전화 032-883-5356 전송 032-891-5356

홈페이지 www.litopia21.com 전자우편 litopia@hanmail.net


ISBN-978-89-6412-201-3 03810


값 14,000원



1. 저자

강우식 시인은 1941년 강원도 주문진에서 출생하여 1966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사행시초'(1974), '사행시초·2'(2015), '마추픽추'(2014), '바이칼'(2019), '백야白夜'(2020), '시학교수'(2021), '죽마고우'(2022), '소이부답'(2023)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시학교수로 정년퇴임했다.



2. 자서

지은이로부터·1


무심 속에 유심이 있어 

코스모스도 

가을하늘빛이다.


가늘고 약한 몸으로

하늘을 닮으며 사는

마음이 가상嘉尙타.


비록 여리게 보이는

꽃이지만

때를 기다린다는 것이

이렇게 크다.


내 시도 열심히, 열심히

코스모스를 닮았으면 한다.


마음껏 하늘하늘 

춤추고 놀아라.              

 

2024년 코스모스 같은 아내를 사랑한 시인

강老石 우식閒翁 識



지은이로부터·2


손바닥 시다.

작고 우습게 여겨도

무심할 뿐이다.


부처님의 손바닥 안에

세계가 있다 하지 않은가.


나는 일생 시의 유혹에 빠져

헤맸던 사람이다.


여자로 치면 보들레르가 

일생 뿌리치지 못한

줄 것 다 주고 가질 것 다 벗겨간 

쟌느 뒤발 같다.

 

 2024년 만추에 단풍잎 곱게 물든 날에

강文博 우식老翁 散人



3. 목차

목차


지은이로부터·1 04

지은이로부터·2 05


1부

가벼움 14

가시나무새·1 15

가시나무새·2 16

가을비 17

가자미·1 18

가자미·2 19

가자미·3 20

갈매기 21

감자 한 상자 22

개탄하는 선거판 23

거미줄 24

겨울새 25

고만고만하다 26

골목길 27

기사문리 28

길상사 29

껍질 30

꽃과 나 31

꽃다발 32

꽃 자랑 33

나뭇잎 34

낙엽 35

내외가 사는 법·1 36

내외가 사는 법·2 37

내외가 사는 법·3 38

내일 39

누구에게나 40

눈치싸움 41

느낌 42

늙은 수작 43

늙음 44

다리 45

달팽이 46

도둑년 47

독신인 체하며 48

돌다 49

돌대가리 50

드러내놓고 51

등대 52

라일락꽃 53

로봇기자회견 54

마무리 55

매미 56

매미소리 57

모과 58

모기 59

모른다는 것 60

모임 61

몸 62

무덤 63


2부

무말랭이 66

무제 67

물건 68

바다 앞에서 69

바다가 다 마셔도 70

받침대 71

밤 72

밤하늘 73

벚꽃이 진다 74

별 75

별꽃 76

복권 77

비 78

빗소리 79

빗질 80

뻐꾸기 81

사랑·1 82

사랑·2 83

사시 눈을 가진 여자 84

산 85

산길 86

산사태 87

살만큼 살다 88

새소리 89

서정주의 목탁 90

석양인생 91

선운사 동백꽃 92

설국 93

설벽雪壁 94

섬 95

속내 96

수평선 97

술잔 98

쓰레기와 같이 살며 99

시 100

시우詩友·1 101

시우詩友·2 102

아내 103

아내의 사랑 104

아쉬움 105

아주 작은 106

아침 108

악다구니 109

알 것 같다 110

약 111

어머니 112

얼마큼 더 살아야 113

여든 중반의 장미꽃 114

여백 115

영감 116

와불臥佛 잠 117


3부

외로움 120

용을 쓰다 121

우리 122

U17 아시아 컵 결승전 123

유전 124

이름 모르는 꽃 125

이상 무 127

일화逸話 128

임종 129

잔디 130

장미꽃 132

장수시대 133

절박한 사랑 134

절집 135

접이식 목제 바구니 136

제일 슬픈 날 137

종쳤네요 138

죄 139

죽어봐야 안다 140

죽은 아내 곁으로 141

죽음·1 142

죽음·2 143

죽음·3 144

지금이야말로 145

짐 146

집중 147

천재 148

초록순간 149

초승달 150

초원에서 151

충전 방전 152

층간소음 153

치매·1 154

치매·2 155

텃세 156

파도 157

파도가 뒤집힌다 158

편하다 159

폭포 160

풀잎 161

피난길 162

핑계무덤 163

해브 노 164

화장실에서 165

횡재수橫財數 166

효자손 167 

힘 168


여적―노시인으로서의 몸가짐 169


지은이로부터·1―0의 경지 175

지은이로부터·2―죽음의 그림자 176



4. 평가

지난날을 돌이켜보면 참으로 ‘무심’히 살았다. 잠결 같다. 그래서 시집 제목도 ‘무심’이라 정했다. 좋은 말 좋은 제목도 많을 텐데 할 분도 있겠지만 내 첫 시집인 '사행시초'속 사행시 한 편에 쓴 시어를 마지막 시집이 될지도 모르는 데에 가져다 쓰기로 하였다. 이 시집은 강우식 사자성어 시집 '주마간산' 다음에 펴낸 책이다. 그리고 분단시 연작시집 『국경을 넘어서』를 세상에 선보이려고 한다. 분단국가에 살아온 시인으로 늘 마음의 부담이었던 우리의 탈북민들에 대한 시를 구상하고 있는 중이다. 죽기 전에 해야 할 일들이 사람을 이렇게 조급하게 만든다. 그러면 어떠랴. 미리 준비해 놓는 것도 좋지 않으랴. 나는 예전에 우리 부모들이 죽으면 묻힐 묘 자리와 입고 갈 상복의 삼베를 미리 준비해 여유를 가지고 사는 심정을 지금 이해하고 있다. 늙어 되도록 나쁜 소리 귀에 안 담고 가려는 내 마음도 이와 같다. 무심한 인생살이 이만하면 잘 살다 간다. 시집에서 짧은시를 손바닥 시라 만들어 쓴 것도 내가 최초요 서문인 지은이로부터 1, 2를 시집 앞머리와 끝나는 전후 상관없이 다는 것도 내가 처음 하는 행위다. 나는 이런 것이 즐겁다. 정년 후 매년 한 권씩 낸 시집의 표지도 미숙하나마 내가 직접 구성하여 만들었다. 또 나만의 새롭게 할 일이 있었으면 한다. 

/여적중에서



5. 작품

가벼움



아내가 저 세상 사람이 되었다.

이승에서의 마지막 작별로

입관할 때 몸을 들어보았다.

평소에 안아보던 아내의 몸이 아니었다.

종잇장처럼 가벼웠다.

이승을 떠나려고 몸속뿐 아니라

몸 밖 인연들마저 다 버린 것 같았다.

다른 세상 다시 못 올 길을 가니까

가볍게 떠나긴 하여야겠지.

고승들아 신자들에게

무소유를 법인 양 내세우지 마라.

사람들은 죽을 때가 되면

누구나 다 가벼워진다.

팔십 늙은이인 나도 하루가 다르게

가벼워지는 죽음을 느낀다.

변기 물에 가라앉던 똥도 가볍게 뜬다.





가시나무새·1



가시나무새는 가시나무에 

자주 앉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생 가시나무새를 본 적이 없다.

당연히 무슨 새인지도 모른다.

제 아무리 빈틈없이 가시가 박인 

가시나무라 하더라도 빈자리는 있다. 

신기하게도 새는 고 자리만 가시가 없는 줄

어찌 알고 경계도 없이 앉는다.

앉은 자리가 풍수지리가의 

뺨을 칠 정도로 명당 중에 명당이다.

하필 새는 가시투성이인 나무에 왜 앉아 있을까.

가시나무는 스스로를 지키려고 

가시로 무장했는데 

그 가시가 생각 밖의 좋은 일을 할 줄은 몰랐다. 

용케도 새는 천적으로부터 자기를 지켜주는  

가장 위험한 데가 그중 안전한 데임을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생리적으로 알고 찾아와 친구가 됐다.





가시나무새·2



가시나무새는 가시나무의 가시를 믿고

스스로를 아름답게 치장하고 산다.





가을비



비를 맞으며 가진 거 다 떨궈도 

낙엽송들이 뼈가 마디면 

겨울을 견디듯이

사람도 뼈마디가 버티는 마지막 힘이다.

무너지면 다 허물어지고 만다.

가을비에 젖고 추위에 꺾이면서도

삶을 견디는 나무인간.

견뎌라. 석 달 열흘은 금방 지난다.





가자미·1



참 ‘가’ 씨라는 희성을 지닌 

자미 있는 어족이다. 

늘 수평적 사고가 넘치도록

사람으로 치면 배를 땅에 붙이고 

바다너울을 따라 사는 것 같다.

수직적 사고인 다른 생선보다 여유가 있다.

생김새만 아니라 마음 씀씀이도 

강원도 바다 아낙네처럼 손이 크고 넓적하다.

가자미 식혜를 담근 집에 들러서는 

밥 한술이라도 넉넉히 얻어먹을 거 같다. 

그래서 그런지 가자미눈을 뜨고 사는

아내와 평지풍파로 옥신각신 다툰 날에는

우리 내외는 밥상머리에 앉아

무채를 썰어 넣고 버무린 

달콤새콤한 가자미 식혜를 먹으며

입가에 묻은 고춧가루를 

내가 네가 서로 닦아주랴 하다가 

시무룩했던 입도 배시시 열린다.





가자미·2



한 세상 속 좁게 부대끼며 아득바득 

살 필요 뭐 있노.

넓디넓은 세상 평수에 맞게

편하게 살아야지. 

바다를 닮은 광어다.

광어에 비해 잔챙이인

가자미도 그렇게 산다고 흉내 내지만 

아무리 귀한 거라도 지천이면

똥값에 천대받는다.

내 고향 주문진에서는 사철

가자미를 흔하게 보지만

회로 먹을 때는 모두들 군말이 없다.

광어와 달리 뼈째로 회 뜬 가자미는

그것대로 씹는 맛이 별미이기 때문이다.





가자미·3



한 번 기를 펴고 살았으면 소원이 없겠다.

얼마나 하찮게 보였으면 

별별 곳에서 압력이 들어와

납작 엎드리고 살 수밖에 없었나.

걸음걸이도 너덜너덜 너풀너풀하다. 

곧고 힘차지 못하고 흐느적댄다.

그러고도 사시 눈 뜨고  

일 년 열두 달 눈치를 봐야 사는 팔자다.

사람들은 내 처세가 다 가짜라고

‘가’ 씨 성을 달고 재미있다고 가자미라 부른다.

정말 다 가짜라면 얼마나 좋을까.





갈매기



갈매기는 

해종일 무위도식無爲徒食처럼

그저 바다를 오가지 않는다.

바다가 생활의 일터다.

짠물만 먹고  

살 수는 없지 않은가.

해만 뜨면 바다라는 

넓고 큰 평야에 나가 

물결이랑을 부지런히 

갈고 매기도 하여

일용할 양식을 구하며 산다.

그래서 이름도 

갈매기로 지었나 보다.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