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도서
김국현 시집 '바보 나무' 발간
페이지 정보

본문
리토피아포에지․169
울보 나무
인쇄 2025. 8 25 발행 2025. 8. 30
지은이 김국현 펴낸이 정기옥
펴낸곳 리토피아
출판등록 2006. 6. 15. 제2006-12호
주소 21315 인천광역시 부평구 평천로255번길 13, 부평테크노파크M2 903호
전화 032-883-5356 전송032-891-5356
홈페이지 www.litopia21.com 전자우편 litopia999@naver.com
ISBN-978-89-6412-210-5 03810
값 12,000원
1. 저자
김국현 시인은 강원도 영월에서 출생했다. 서울 관악고등학교, 성결대학교, 성결신학대학원을 졸업 했으며, 2018년 《푸른 문학》으로 등단하여 첫시 집으로 『어느 섣달그믐에』가 있다. 현재 한국 문인 협회 홍천지부 사무국장이며, 강원문인협회 이사 이다. 홍천 풍성한교회 목사(예수교대한성결 교회)로 목회 활동을 하고 있다.
2. 시인의 말
시인의 말
시 공부는 쉽지 않다.
첫 시집보다 나은 것이 없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원찬 시인님께서 언어의 조탁이 무엇인지 가르쳐 주셨다.
은사님께 감사하다.
나이 들수록 여성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어서 그런가
눈물이 많다.
요즘엔 모든 것이 눈물이다.
시도 눈물이다.
2025년 8월
김국현
3. 목차
차례
제1부 사랑하는 이를 만났을 때의 눈물
눈물·1 15
눈물·2 16
푸르름을 향하여 17
너를 위하여 18
연애 19
길 20
골방 21
벽에 기대어 22
뇌병변 장애 아이를 보며 23
심는다 24
꽃길 25
팬지 26
서향 꽃 27
삼지닥나무꽃 28
동백꽃 29
명자나무꽃 30
울보 나무·1—목련 31
울보 나무·2 32
울보 나무·3 34
울보 나무·4 35
크로커스 36
입맞춤 37
섬김 38
희망 39
가지치기 40
부활절 찬양 41
희생 42
제2부 추웠을 때의 눈물
울보 나무·5 45
삶이 시詩가 될 수 있다면 46
아픔을 함께하며 47
암을 치유하고 있는 친구에게 48
돌 49
우정과의 이별 50
문득 52
삶, 꿈인지 생시인지 53
슬픈 어버이날 54
고프다 55
회개하고 56
경고 57
나의 시詩 58
시詩 59
아픈 시詩 60
기후 위기 61
태풍의 시절 62
잊는다는 건 63
상념 64
한파주의보 65
한파 중에 66
습관처럼 트리를 67
떠나가기 위한 기도 68
꽃샘추위 69
그래도 좋다 70
제3부 따뜻했을 때의 눈물
감사 73
고맙다 74
강원의 산山 75
오십이 넘어 76
가령폭포 77
소풍 78
가을 휴식 79
백 년의 반토막 80
여유 81
추억 정리 82
정초에 84
영감靈感 85
역지사지 86
눈이 네 개 87
돈키호테 되어 88
물, 호흡 89
해설|남태식 지천명에 다시 부르는 사랑과 연민과
감사의 노래 —김국현의 시세계 91
4. 평가
늦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고 했던가요. 늦깎이라는 말이 사라져야 할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기대수명이 늘어나서 이제 중장년의 나이에 무언가를 시작한다는 것이 전혀 늦지 않게 되었습니다. 아니면 굳이 늦깎이라는 말을 계속 쓰자면 늦깎이의 나이를 늦춰 잡아야 하겠습니다만, 늦춰 잡는다고 생각하니 아이러니하게도 그건 또 아니지 싶습니다. 기대수명이 늘어났다고는 해도 “다시”라는 말을 쓸 수 있는 나이는 한정되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시인도 “지천명”의 나이에 시 쓰기를 다시 시작했다고 감회를 밝히고 있군요. 다시라는 말이 지금은 늦지 않을뿐더러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충분하기도 하니 어쩌면 이 다시는 처음과 다름이 없어 보입니다.
5. 작품
눈물·1
나를 토해 낸다
눈물·2
나를 토해 낸다
꽃을 피웠다
푸르름을 향하여
바람이 이끌고 있다
갈증을,
사랑에 대한
아직 흘리지 않은 열정이 아쉬워
부는 바람, 바람, 바람
소원하는 바
꽃이 핀다
너를 위하여
봄을 기다리는,
따스한 햇살 되면 좋겠다
추위에 떠는,
따뜻한 커피 한 잔 되면 좋겠다
허기진,
뜨듯한 국밥 한 그릇 되면 좋겠다
타고난 시력,
알맞은 안경 되면 좋겠다
누군가를 기다리는,
말동무 되면 좋겠다
고달픈,
안식처 되면 좋겠다
연애
샛별을 좇는다
오늘도 내일도
내 첫사랑은 새벽별이었다
모든 것이 새로워진 공기, 호흡이다
외로이 걷는 길에서도 꿈을 꾼다
정상적으로 미쳐 있다
사랑하지 않는다면
오직 사랑에 이끌려 간다
새벽 별을 사랑하는 이가,
오늘도 골방에서 새벽을 맞이한
골방은 사랑이 가득하다
별이 쏟아진다
별이 연애하며
오늘도 샛별을 좇는다
길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사랑에 빠져 달려가는 길
그 사랑에 이끌려 홀로 걷는 길
길을 걷다 꽃을 만나고 나비를 만나고 때론,
길고양이를 만나 대화를 나누는
절대자의 위로가 이끄는,
절대자 없이는 갈 수 없는,
빠지면 빠질수록
좋은 생명의 길
골방
절대자와의 연애 장소
그의 음성이 보이는
샘물이 솟아나는 광야
삶의 출발점 되는 곳
여기서 물결치는 바다를 낚는
어부
벽에 기대어
눈보라 치던 어느 날
초가집 처마에 기대어 있던 때
어머니의 품 같은 포근함을 느꼈지
방패처럼
날 꼭 안아주었지
참 안식,
네게 기댄다
뇌병변 장애 아이를 보며
세상에는 갖가지 모양의 꽃이 있지
그대는 꽃 중의 꽃
손 쓰는 것도 힘들고
걷는 것도 어렵고
말하는 것이 하나의 사치일지라도
아름다운 꽃 중에 하나
'천사들의 합창'
어린 아기로 태어나
어린 아기로 성장한
어린 아기이어도
아름다운 꽃 중에 꽃
심는다
삶에 장미나무를 심는다
나처럼 삶에 서툴지 않을 나무
때가 되면 뜨겁고 붉게 타오를 네가
서툴지라도
온전히 자신을 피워낼 불꽃 심는다
- 이전글최서연 시집 '다음엔 부처꽃' 발간 25.09.07
- 다음글고창수 사진시집 '사라반드' 출간 25.08.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