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언론보도

뜨거운 자작나무 숲/안명옥- 한국경제 2016.07.05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정치산
댓글 0건 조회 1,883회 작성일 16-07-05 15:31

본문

한국경제


안명옥 시인의 제2시집 '뜨거운 자작나무 숲'

입력 2016-07-05 10:33:45 | 수정 2016-07-05 10:33:45

                       


안명옥, '뜨거운 자작나무 숲'(리토피아포에지·47,리토피아 간행)/128쪽/값9,000원기사 이미지 보기

안명옥, '뜨거운 자작나무 숲'(리토피아포에지·47,리토피아 간행)/128쪽/값9,000원


안명옥 시인의 제2시집 '뜨거운 자작나무 숲'(리토피아 간행)이 나왔다. 50여 편의 시를 4부로 나누어 수록한 이 시집에 대해 발문을 쓴 한명희 시인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뜨거운 자작나무 숲의 많은 시들이 나에게 슬픔을 전염시켰지만 특히 이 시는 나를 울렸다. 착해지지 않아도 돼, 이젠 뭐든 다 이해 해라는 구절이 특히. 명옥이가 악착같이 착하게 살아왔다는 건 안다. 내가 아주 잘 안다. 그런 명옥이가 착해지지 않아도 돼, 이젠 뭐든 다 이해 해라고 말할 때, 그것은 내게 그동안 참 수고했다. 이제는 좀 천천히 살아도 돼. 라는 위로와 격려의 말로 들렸다. 그래서 착하게 살아오지 않은 나조차 울컥해졌지. 물론 명옥이는 이 말을 하면서 남들을 위로하고 제일 끝으로 스스로를 위로했으리라. 명옥이를 이런 경지에 이르도록 만든 삶의 소음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본다.’ 

정우영 시인은 이 시집에 대해 ‘안명옥은 그늘을 앓는다. 그가 앓는 그늘에서 사물들은 문득 가뿐해진다. 슬픈 것이든 아픈 것이든 그의 그늘에 들면 문득 스르르 잦아든다. 이런 치유력은 도대체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나는 그가 가진 시적 모유母乳의 힘이라고 여긴다. 그는 저 그늘에서 스스로를 아프게 짜내어 세상을 모시는 것이다. 나를 게워 너를 모시는 모심의 시이다. 모심의 시는 동시에 모심母心의 시이기도 하다. 나와 너를 통째로 품어안는 어미의 시인 것이다. 안명옥이 펼쳐가는 연민의 눈, 상처의 힘, 다 여기서 나온다. 그의 서사시에서 여성의 강인함만 보았다면 시의 일면을 읽은 것이다. 다시 되짚어 그가 키워 올린 시편들 찬찬히 펼쳐 보시라. 얼마나 깊이 모심과 모성의 숨결들 배어 있는지. 오래지 않아 당신의 마음에도, 갓 움튼 뿌리 하나가 흙을 움켜쥐며 뻗을 때/주위에 퍼지는 미열들처럼 모심의 시, 도도록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안명옥 시인은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과를 졸업했으며, 2002년 시와시학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칼이 있으며, 서사시집으로 소서노, 나, 진성은 신라의 왕이다가 있다. 주니어 김영사에서 강감찬과 납작코 오빛나, 금방울전, 파한집과 보한집, 고려사 등의 동화들을 펴냈다. 성균문학상 우수상, 바움문학상 작품상, 만해 님 시인상 우수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고양예술고등학교 문예창작과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자세히보기 CLICK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