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특정 문학회 가입해야 문화재단 지원 받는다? -기호일보 2016.07.11
페이지 정보

본문
Date 2016.7.11 월 문화예술소통연구소 인천문화재단에 ‘특혜 의혹’ 제기
특정 문학회 가입해야 문화재단 지원 받는다?
문화예술소통연구소 인천문화재단에 ‘특혜 의혹’ 제기
"출판 지원 25% 한 곳에 집중"… 재단 "심사 개입 없다"
김경일 기자 kik@kihoilbo.co.kr 2016년 07월 11일 월요일 제19면
예술인을 지원하는 인천문화재단 문화예술지원사업에 대한 문제 제기가 시각예술(미술) 분야에 이어 출판(문학)으로도 번졌다.
인천 토박이 화가들의 지역홀대론<본보 6월 23일자 19면 보도>에 이어 인천지역 특정 문학회에 대한 몰아주기 지원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문화예술소통연구소 소속 300여 명의 문인들은 이를 문제 삼고 오는 23일 ‘인천문화재단 2016년 지원사업의 전횡을 해부한다’란 제목으로 난상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문예지 계간 「리토피아」 발간과 김구용문학제 등을 펼치고 있는 문화예술소통연구소의 장종권 이사장은 "인천문화재단의 출판 분야 지원 선정자를 보면 총 32건 중 25%인 8건이 A문학회와 관련돼 있다"며 "인천에서 활동 중인 20여 개의 문학단체 중 A문학회와 문인에만 집중적인 지원을 한 것은 누가 봐도 선정의 공정성을 의심할 만한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또 "A문학회에 가입해야만 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이 돌 정도"라며 "이것 말고도 지원이 결정된 B작가와 C심의의원의 유착관계 의혹 등을 모두에게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천문화재단이 바로 서고 인천 문학계가 발전하기 위한 고육지책임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인천문화재단 측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재단 관계자는 "무기명 원고 심사를 통해 심의위원은 누구 글인지 모른 채 심사하고, 이해관계가 있는 심의위원은 특정 심의에서 빠지도록 하는 제도를 통해 공정한 심사를 유도하고 있으며, 재단 측은 심사에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또 "작품 수준 등을 기준으로 한 심사 결과로 인해 특정 문학회로 지원에 몰린 점은 의아스러울 정도"라며 "재심사 요구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인천 문학계에 정통한 한 작가는 "A문학회가 문단을 좌지우지하면서 이런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이참에 문화재단이 심의 과정을 알리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평했다.
김경일 기자 kik@kihoilbo.co.kr![]()
인천 토박이 화가들의 지역홀대론<본보 6월 23일자 19면 보도>에 이어 인천지역 특정 문학회에 대한 몰아주기 지원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문화예술소통연구소 소속 300여 명의 문인들은 이를 문제 삼고 오는 23일 ‘인천문화재단 2016년 지원사업의 전횡을 해부한다’란 제목으로 난상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문예지 계간 「리토피아」 발간과 김구용문학제 등을 펼치고 있는 문화예술소통연구소의 장종권 이사장은 "인천문화재단의 출판 분야 지원 선정자를 보면 총 32건 중 25%인 8건이 A문학회와 관련돼 있다"며 "인천에서 활동 중인 20여 개의 문학단체 중 A문학회와 문인에만 집중적인 지원을 한 것은 누가 봐도 선정의 공정성을 의심할 만한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또 "A문학회에 가입해야만 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이 돌 정도"라며 "이것 말고도 지원이 결정된 B작가와 C심의의원의 유착관계 의혹 등을 모두에게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천문화재단이 바로 서고 인천 문학계가 발전하기 위한 고육지책임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인천문화재단 측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재단 관계자는 "무기명 원고 심사를 통해 심의위원은 누구 글인지 모른 채 심사하고, 이해관계가 있는 심의위원은 특정 심의에서 빠지도록 하는 제도를 통해 공정한 심사를 유도하고 있으며, 재단 측은 심사에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또 "작품 수준 등을 기준으로 한 심사 결과로 인해 특정 문학회로 지원에 몰린 점은 의아스러울 정도"라며 "재심사 요구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인천 문학계에 정통한 한 작가는 "A문학회가 문단을 좌지우지하면서 이런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이참에 문화재단이 심의 과정을 알리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평했다.
김경일 기자 kik@kihoilbo.co.kr
<저작권자 ⓒ 기호일보 (http://www.kihoilbo.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0
- 이전글새벽/박하리 - 중부일보 2016.07.14 목요일 16.08.01
- 다음글시집 뜨거운 자작나무 숲/ 안명옥시인, 사과밭에서 그녀가 온다/ 권순시인 - 기호일보 2016.07.07 16.07.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