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작품(전체)
36호(2009/겨울)/젊은시인 집중조명/정진경의 시/해설/김대성
페이지 정보

본문
―정진경, 「알타미라 벽화」 부분(알타미라 벽화, 현대시, 2003)
백화점으로 추정되는 공간에서 시인의 시선에 포착된 상품들은 ‘상품’이 아닌 ‘짐승의 허울’로 전도顚倒된다. 진열되어 있는 상품들이 동물들의 가죽처럼 보이는 것이 아니라 외려 핸드백, 하이힐, 벨트처럼 보인다고 의뭉스러운 어조로 말하는 시인에 의해 동물의 가죽을 가공하여 상품이 만들어지는 선후체계가 붕괴된다. 시인의 눈에는 진열되어 있는 것이 상품이 아니라 동물의 허울에 다름 아닌 셈이다. 상품에서 동물의 모습이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현현하고 있는 상품을 동물로 간주하는 이 전도야 말로 정진경 특유의 방정식을 만드는 공식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방정식은 ‘x값’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다만 ‘x의 자리’를 만들어줌으로써 상품의 자명함을 위태롭게 만드는 것이다. 이 위태로운 자리에서 우리는 사물 그 자체의 자질들과 조우하게 된다.
상품과 동물의 이 같은 전도는 얼핏 자본주의 상품 시장을 비판하던 기왕의 시선들과 궤를 함께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상품을 통해 동물의 형상을 포착해냈던 시선과 달리 시인은 동물의 형상과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있기에 그들의 ‘숨소리’를 더욱 가까이에서 들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황소의 긴 숨소리가 옆구리에 지근하고 파고들”며 “세상의 모든 짐승들이 뿜어내는 숨소리의 올가미에 깔려” 있다는 시인의 토로는 문학적 수사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 생생한 실감에 의해 상품으로 치환되었던 동물의 허울과 시인 사이에 은폐되어 있던 ‘벽화’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고 시인이 벽화를 그리는 사람이라고 서둘러 규정지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정진경은 벽화를 그리기보다는 벽화를 그릴 수 있는 벽면을 만들어내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벽화는 사물들이 사물로서 드러내며, 사물 스스로 말할 수 있는 공간에 다름 아니다. 정진경이 마련한 벽화는 사물들의 말로 채워져 갈 것이다. 이렇게 마련되는 말言들의 공간寺, 그것이야말로 시적 언어가 발현되는 장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는가.
3. 몸 : 사건을 기록하다
그런 점에서 인류의 척추뼈에 대한 ‘프로파일링’을 하고 있는 작업(「등뼈에 관한 프로파일링」) 또한 ‘과거-현재-미래’가 선형적으로 이어지는 ‘역사 서사’를 전복하려는 시도로 읽을 수 있다. 앞서 확인한 것처럼 정진경에게 있어 자본주의 상품은 배척해야 할 대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우리의 척추와 같은 것으로 전이되어 있는 탓에 부정의 대상으로만 간주될 수는 없어 보인다. 대신 그는 이 자명한 ‘척추-상품’들 곁에 ‘x’라는 기호를 가져다놓음으로써 현재라는 확정된 시간, 가시적으로 드러나 있는 존재들의 은폐되어 보이지 않는 권력의 양상들을 비춘다. 그런 점에서 시인이 마련한 ‘x’라는 미지수는 반사(reflection)판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 반사는 반성(reflection)을 촉발한다. 그것은 현재를 ‘도착 지점’이 아니라 ‘조난 부호’로 돌려세움으로써 응당 가야할 자명한 경로들을 회의하게 하는 효과를 낳는 것이다.
세상 어느 곳에도
오차를 허용하지 않는 올곧은 등뼈가 없다는 건
직립은 진화의 끝이 아니라는 말이다
등뼈는 몸을 지탱하기에 급급한 골조가 아니라
욕망이 지향하는 대로 끓는
빙점을 기억하지 않는 용광로이어서
휘어질 수밖에 없다
―정진경, 「등뼈에 관한 프로파일링」 부분
정진경에 의하면 인류의 진화를 가능케 했던 직립보행과 그로 인해 만들어진 인간의 몸은 “욕망이 지향하는 대로 끓는/빙점을 기억하지 않는 용광로” 같은 것인 터라 “휘어질 수밖에 없다”. 인류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라고까지 할 수 있는 등뼈(척추)가 가변적이라는 시인의 언급은 인간을 세계의 중심에 두고 있던 진화적 질서를 무너뜨린다. 시인이 진화의 정점으로 간주되어 왔던 인간의 몸, 다시 말해 직립이 진화의 끝이 아니라 외려 퇴화할 수도 있다고 한 것은 멈춤 줄 모르는 인간의 욕망에 대한 경고처럼 들린다. 인간의 몸은 유한하지만 욕망은 “썩지 않고 불변하는 몸”(「혀는 묘혈을 타고 올라」, 알타미라 벽화)을 가지고 있기에 그 욕망이 실현되는 장소인 인간의 몸은 변형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이 변형에 대한 경고를 인간의 몸에 대한 신성화로부터 연유하는 것이라고 간주해서는 안 된다. 외려 시시각각 변모하는 인간의 몸이야말로 증식하는 ‘욕망의 공식’을 확인할 수 있는 ‘벽화’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만들어내는 상품을 전도시킴으로써 사물의 언어를 포착해낸 것처럼 정진경은 인간의 몸에 새겨지는 욕망의 공식을 통해 자명한 것으로 간주되어왔던 인간중심의 신화를 탈신화화 한다.
정진경이 인간의 몸에 관한 시를 지속적으로 창작하고 있는 것 또한 욕망이 은폐하거나 왜곡시켜 왔던 기록을 시시각각 변하는 몸이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인간의 몸은 ‘사건’이 기록되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인간의 몸이 “신성과 혐오를 동시에 함유하고”(「유통기한이 지난 여자」) 있다는 진술은 자연스럽다. 인간의 몸은 얼핏 욕망에 정복당한 식민지처럼 보이지만 그 힘이 언제나 일방적인 것만은 아니다. 인간의 몸은 욕망의 ‘프로파일링’이자 ‘알리바이’가 기록되는 장소이기에 ‘욕망의 실현’은 곧 ‘공식의 노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예컨대 인간의 변형된 척추뼈에서 TV라는 종교에 광적으로 빠져 있는 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벽걸이형 TV 인간」). 나의 몸은 나의 욕망에 의해 온전하게 포섭되지 않는다. 그곳은 사물과의 관계가 이루어지는 장소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누구이든 간에 알리바이를 요구한다는 건
몸 어디선가 철거덕,
덫이 닫히는 소리를 듣는 일이다
누군가 나를 취조하려 들면
나는 나를 증명할 방법이 없다
알리바이는
내게서 증명되는 게 아니라
당신에게서 증명된다
―정진경, 「알리바이」 부분
정진경의 「알리바이」는 “굴절된 렌즈로 나를 보고 있”는 타인들의 시선에 대한 냉소를 표현하는 데 집중하고 있지만 ‘알리바이가 당신에게서 증명된다’는 진술을 다의적으로 해석해보자. 이때의 당신을 2인칭 ‘너’라는 축자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할테지만 한편으론 ‘나’라는 ‘주관’이 온전히 포섭하지 못하는 또 ‘다른 나’로 읽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그것은 나의 몸에 새겨져 있는 욕망의 기록들을 비추어봄(reflection)으로써 가능한 것일 텐데, 이때 몸에 새겨져 있는 기록에는 ‘자아의 욕망’뿐 아니라 사물들의 형상까지 남겨져 있다는 사실을 환기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몸을 비춰봄으로써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행위는 얼핏 “나르시시즘의 함량이 과도한 거울”을 맹신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굴절된 것은 타인의 시선에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의 몸 또한 “굴절된 렌즈”를 통해서 바라보지 않았던가. 이 굴절된 렌즈는 일차적으로 자아중심적인 욕망에 의해 왜곡된 시각을 의미하겠지만 그것을 다시 한 번 더 ‘굴절’시켜보자. 이 ‘굴절’은 자명한 등식을 이루고 있던 질서에 미지수 ‘x’를 기입하는 것과 유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이중으로 굴절된 시선에 의해 우리는 인간의 몸이 욕망만이 기입되는 장소가 아니라는 점을 환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인간의 몸에는 욕망의 실현을 위해 계산 가능한 방식으로 도구화해버린 사물들의 흔적 또한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사물들의 흔적이 보이지 않은 것은 이미 지워져버린 데서 연유하는 것이 아니라 은폐되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인간의 몸이야말로 지금까지 우리가 알지 못했던 사물들과 몸이 만나는 ‘미지의 장소’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곳에는 욕망의 공식이 가려버린, 혹은 기록되지 못한 정보들까지 확인할 수 있다.
해변가 단층의 아귀가 조금씩 어긋나고 있었지만 사람들은 기상청 통계자료를 맹신하고 있었다 그곳엔 태풍이 안타를 친 기록은 기재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은 한 여름 열기를 가려줄 선글라스와 모자, 비치솔만 해변가 모래 위에 빼곡히 꽂아놓았다. 홈런은 예견하지 않은 도면에 그려진다는 걸 사람들은 알려고 하지 않았다. 무안타 기록자가 가진 내공 같은 건 관심이 없었으므로
정진경, 「무안타 기록자의 홈런」 부분
“예견하지 않은 도면에 그려”지는 홈런은 “기상청 통계자료”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돌발적인 ‘사건’에 다름 아니다. 인용문에서 지칭하고 있는 ‘태풍’은 세찬바람을 지칭하는 데 국한되지 않는다. 욕망에 의해 식민화된 것처럼 보이는 인간의 몸 또한 태풍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다시 말해 욕망의 논리에 의해 식민화된 장소처럼 보이지만 결코 완전하게 장악당하지 않는 곳, 동시에 지워지지 않은 사물들의 흔적들이 남아 있는 곳, 인간의 몸이 시시각각 변형되는 것은 욕망의 변덕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사물과 접촉하기에 몸은 저 스스로도 예측할 수 없는 형태로 변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욕망은 사물을 교환 가능한 방식으로 변형시킬 수는 있지만 그것을 온전히 장악할 수는 없다. 인간의 ‘몸’ 또한 사정이 다르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앞서 정진경이 거스르고자 했던 진보론적 역사관념을 다시금 떠올리게 된다. 현재를 미래를 위한, 미래를 예비하기 위한 목적론적인 시공간으로 사유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가 열리는 공간으로 재맥락화 하고 있는 태도에서 ‘안타’라는 기록이 없어도 ‘홈런’이라는 사건이 도래할 수 있는, ‘태풍-몸’의 예측 불가능한 속성을 다시금 확인하게 된다.
4. 시선 : 수술을 하다
정진경의 시에서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동사를 ‘본다’로 꼽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기는 힘들 것이다. 시인에게 있는 ‘본다’는 행위는 대상을 바라보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다는 것’은 우선 시선으로 포착된 대상을 장악하는 폭력적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럼에도 ‘본다는 것’은 주체의 시선으로 대상을 장악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다는 것’은 대상 또한 ‘나’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본다는 행위’의 기저에 괄호쳐져 있는 ‘(마주)본다’는 의미를 환기할 필요가 있다.
① 우리 속 원숭이가 우리를 보고 있어요 바나나 껍질 같은 미끄러운 속셈을 보고 있어요 너희 조상은 나라며 비웃고 있어요 가면을 둘러쓰고 웃던 우리들 표정이 벗겨지고 진화된 세월의 껍질이 먼지를 털고 있어요
―정진경, 「우리 속의 우리」 부분. 알타미라 벽화
② 지금은 수술 중
다음 관람자는 경계선에 서서
마취제를 투여하세요
살아오면서 조립한 의식들은
입구에 있는 보관함에 넣어두고
비밀번호 하나만 외워 두세요
붓끝이 도려내는 환부를
이식받을 마음의 준비를 하세요
미술관 벽면에 해부해 놓은
프리타 칼로와 만나면
수술은 금속성 메스로만 가능하다는
생각은 과감히 버리세요
상징의 비법으로 시술되는
프리다 칼로 메스
피를 흘리지 않는 칼질은
꿰매는 방법도 신화라는 걸
알게 될 거예요
―정진경, 「지금은 수술 중」 부분
정진경에게 있어 ‘본다’는 행위는 자아라는 소실점을 중심으로 대상을 수렴시키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시적 소실점에 의해 구성된 세계는 1인칭 자아에 의해 식민화된 세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우리는 정진경의 시에서 빈번하게 마주하게 되는 ‘본다’는 행위가 매번 ‘보여진다’는 상황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인용 ①). 보는 자와 보여지는 자의 위계가 언제나 전도가능하다는 사실을 자각할 수 있을 때, ‘본다’는 행위는 일방향적인 것이 아니라 쌍방향적인 것으로 변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것은 본다는 것이 대상을 장악하는 데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매번 나 또한 대상에게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을 환기하게 만드는 탓에 나를 보고 있는 대상에 의해 ‘나의 위치’의 자명함이 위태로워지는 것이다. 그들을 보고 있는 우리들이야말로 우리 속에 갇혀 있는 존재에 다름 아니라는 사실에 대한 자각은 우리로 하여금 ‘주체의 자리’가 타자와의 관계항 속에 놓일 때 비로소 구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환기한다.
게 있어 ‘본다’는 행위는 회의와 반성을 함의하고 있다고 하겠다. 보는 행위에 의해 나라는 존재는 강화되기보다 위태로워진다. 무언가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언제나 가지고 있던 것을 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다는 것은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이다. 보기 위해서는 나를 도려낼 각오를 해야 한다(인용 ②). 그가 ‘본다’는 행위를 ‘수술한다’는 행위와 등치시키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정진경에게 있어 본다는 행위는 언제나 대상에게 보여진다(인용 ①)는 것과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내어주어야 한다(인용 ②)는 것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대상을 본다는 것은 관계를 맺는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 이 쌍방향적인 시선은 자명한 것처럼 보였던 대상과 나의 자리에 미지수 ‘x’를 부여한다. 그 미지수 ‘x’에 의해 확고했던 우리들의 위치는 흔들린다. ‘나는 나다’라는 자명함이 ‘나는 x다’라는 불확정적인 상태로 바뀌는 것이다. 미지수 ‘x’는 ‘관계’를 직조하는 중요한 공식이며 존재를, 세계를 구원할 수 있는 열쇳말인 것이다.
김대성∙2007년 ≪작가세계≫ 신인상 평론부분 당선. 주요평론으로 「종언 이후의 시공간과 주체성―골방과 수용소의 동물들」, 「감각의 사전과 찢겨진 서정시」, 「죽음과 글쓰기 : 애도(불)가능성에 관하여」 등
- 이전글36호(2009/겨울)/신작시/혼자서도 잘 논다 외 1편/김여정 09.12.21
- 다음글36호(2009/겨울)/젊은시인 집중조명/등뼈에 관한 프로파일링 외 9편/정진경 09.12.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