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수록작품(전체)

14호를 내면서/고명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편집부
댓글 0건 조회 2,178회 작성일 05-03-07 12:39

본문

제14호를 내면서


우중(愚衆)을 넘어선 대중 속으로



탄핵정국은 17대 총선 이후 상생의 정치를 다짐하는 여야와 국민 모두에게 무엇과도 교환할 수 없는 깨우침을 주었다. 근대적 제도의 의회 권력에 안주하려는 국회는 더 이상 민의(民意)의 전당이 아니며, 그동안 숱하게 타전되었던 상생의 정치는 의회 권력을 장악하기 위한 한갓 ‘선언’에 불과할 뿐이라는 점을 국민은 다시 한번 분명히 인식하게 되었다.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으며, 민주주의의 정당한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지극히 상식적인 사실을 재차 확인하게 되었다. 양심적인 민주주의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한 손에 촛불을 들고 전국 광장에 모여들었다. 그리고 이 땅의 민주주의를 향해 거룩한 촛불을 하늘 높이 들어올렸다. 전국의 광장은 2002년 6월 월드컵 때의 그곳처럼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민주주의를 향한 열정으로 가득 메워졌다. 그렇게 우리는 지난 3월을 뜨겁게 보냈다.
이제 우리는 소중한 깨달음을 얻었다. 민주주의는 국민의 적극적․자발적 참여 없이 결코 실현될 수 없다는 것을. 더 이상 의회 권력에 국민은 놀아날 수 없다는 것을. ‘죽임의 언어’가 아니라 ‘살림의 언어’에 대한 꿈꾸기를 포기할 수 없다는 것을. 대중은 더 이상 우중(愚衆)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정치경제학의 심급에서 시민이란 존재에 대해 다시 성찰하게 되었듯이, 문화의 심급에서도 대중이란 존재는 다시 성찰해보아야 할 것이다. 이제 대중은 자본주의 메커니즘 속에서 소비의 주체로서만 일방적으로 끌려다니지 않는다. 대중은 그 스스로 자신의 문화와 서사를 창조적으로 추동해낸다.
따라서 이번 호의 <특집: 대중서사를 주목한다>는 이러한 저간의 현실 맥락 속에서 우리의 대중서사가 현재 어떠한 존재로 현상되고 있는가에 관한 보고서적 성격을 띤다. 오윤호의 「대중서사와 역사적 신체에 대한 재현」은 최근 쟁점화된 바 있는 ‘이승연 누드 파문’과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의 두 양상을 흥미롭게 분석하고 있다. 이 둘의 분석을 통해 오윤호는 대중의 욕망과 깊이 연루된 대중서사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함종호의 「생명을 부르는 힘」은 영화 ‘301․302’와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를 그 원작인 장정일의 시와 박상연의 소설과 상호텍스트성의 시각으로 검토하고 있다. 문학을 원작으로 하는 대중서사가 어떻게 생성되고 있으며, 그 미학적 성격에 대한 꼼꼼한 논의 역시 우리시대의 대중서사의 현주소를 진단하는데 유효하다.
이번 호에는 그밖에도 <초점>란에 고명철, 김인호, 박남희, 김지선 등의 문학비평이 실려 있어 다채로운 시각에 의한 문학비평 읽기의 재미를 쏠쏠히 느껴볼 수 있을 터이다. 게다가 <신작시>에는 다양한 성향의 시인들의 작품을 한곳에 볼 수 있어 여름 시단의 왕성한 에너지를 느껴볼 수 있다. 이번 호의 <소설> 역시 독자들의 일독을 권한다. 서사의 위기라고 얘기하지만, 차분히 자신의 위치에서 서사의 진정성을 향해 고투하고 있는 작가의 신작들을 대하다보면, 이러한 진단은 기우에 불과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된다.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서도 <대학생의 독서일기>에는 여러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짤막한 서평이 실려 있다. 전문 문인들의 글을 읽는 것도 즐겁지만, 대학 지성인들의 참신한 사유를 접하는 것 또한 ≪리토피아≫의 매력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지난 계절의 작품 읽기>에는 전문 문인들이 각자 특정 작품의 가치에 대한 비평적 판단을 내리고 있다. 범람하는 작품들 속에서도 옥석을 가려주신 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이제 무더운 여름의 문턱으로 들어선다. 여름은 우주의 활동이 가장 왕성할 때다. 이번 여름에도 한국 문학의 질적 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리토피아≫는 노력의 박차를 가할 것임을 다짐해본다.
고명철(문학평론가, 본지 편집위원)

추천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