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문학자유게시판

리토피아 창간 2주년 기념호 관련 기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김동윤
댓글 0건 조회 4,233회 작성일 03-03-22 17:57

본문

다음은 리토피아 2003 봄호와 관련하여 <한라일보>에 보도된 기사 내용입니다.


문화 인프라 현주소를 점검한다
----------------------------------------------------------------------

시인들만 있는 시낭송회, 시설 확충에만 눈이 먼 영화관, 10년전이나 오늘이나 레퍼토리에 변화가 없는 공연단체, 문화예술인들의 불만과 불신이 누적되고 있는 문예진흥기금, 책이 없는 도서관…. 이를 뭉뚱그려 우리시대 문화 인프라의 현주소라고 하면 비약일까.
 계간 ‘리토피아’ 가 ‘긴급 점검, 우리 시대의 문화인프라’를 주제로 마련한 봄 특집호를 보면, 국내 문화 인프라의 현주소를 알 수 있다. 문화 인프라는 문화예술의 창조, 유통, 향유를 위한 시설과 제도를 일컫는 말. 편집위원인 고명철씨는 “역대 정권들이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문화의 창조적 발전을 위해 여러가지 정책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 대부분은 단시간에 효과를 보기위해 경제적 효용 논리에 입각해 만들어진 것이었다”며 “문화의 경제적 가치가 지닌 성격을 다른 경제적 가치와 무차별적으로 판단하는 가운데 문화만의 독자성을 몰각한데서 빚어지는 문화(文化)의 문화(文禍)가 우려된다”는 말로 특집호 기획 배경을 설명해 놓았다.
 모든 지면을 특집으로 꾸민 이번호는 ‘문화 인프라로서의 대학의 역할’과 ‘아직도 민족예술은 유효한가’를 다룬 총론 ‘우리 시대의 문화 인프라, 이대로 좋은가?’를 시작으로 문학, 교육, 공연장, 도서관 순으로 문화 인프라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있다. 문학의 경우 크고 작은 시낭송회의 성격과 문제점, 지역에서 우후죽순으로 건립되고 있는 문학기념관의 문제점 등을 다뤘다. 공연장에서는 문예진흥기금 지원정책의 문제점, 최근 각광받고 있는 복합멀티플렉스의 현실 등을 짚었다. 영상문화가 압도하는 현실에서 연극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연극 인프라 점검도 주목할 대목이다. 또 교육에서는 제도권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했다.
 전문가 뿐만아니라 문화를 향유할 관객들과 일반인들의 의견도 수록했다. 문화센터의 문화강좌를 듣고, 관람객이 본 공연장 이용의 문제, 도서관을 활용하면서 가졌던 생각들과 같은 글들이 그것들로 개별문화들이 일상에서 얼마나 친근하게 향유되고 있는지 돌아볼 수 있는 기회다.
(한라일보 2003. 3. 22)
/진선희기자jin@hallailbo.co.kr
추천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