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추천작품

2007년 강원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편집부
댓글 0건 조회 5,021회 작성일 08-02-16 00:57

본문

  

소라여인숙


김영식·포항



 어린물떼새 발자국 안테나처럼 찍힌
 해변가 모퉁이 외딴 집 한 채
 대문 푸른 그 집의 적막을 떠밀자 능소화
 꽃잎마다 출렁! 노을이 밀려든다
 「자는 방 잇섬」 걸어놓고 주인은
 종일 갯바위 너머 일 갔는지
 마당엔 젖은 파도소리만 무성하다
 집이 그리운 집게처럼 나는
 풍랑주의보 내린 어로漁撈를 정박시키고
 소금기 반짝이는 그 집 빈방에 들어
 하룻밤 묵고 가기로 한다
 바람소리 켜켜이 비닐장판처럼 깔린
 방바닥에 지긋이 손을 넣으면
 오래 흘러온 것들이 제 상처를 들여다보는 시간
 공중을 내려놓은 갈매기들이
 깃 속에 낮의 시린 부리를 묻는다
 등 굽은 주인은 아직 돌아오지 않고
 모서리 둥글게 닳은 물결무늬 숙박계
 세상에 없는 주소 꾹꾹 눌러 적으면
 누군가의 등을 안아주던 흰 바람벽
 위로 참방참방 헤엄쳐오는 숭어 떼
 방파제 끝에서 인부 몇 돌아오고 나는
 옆으로 누워 밤을 견디는 긴발가락집게처럼
 온 몸이 녹아드는 아랫목에 누워
 홑이불 같은 수평선 한 자락 당겨 덮는다



심사평


본심에서 마지막까지 논의된 작품은 김영식의 `소라 여인숙' 외 4편과 박창호의 `오십견'외 4편이었다.

 박창호의 시는 일정한 작품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문체가 담백하고 과장된 진술이 없다.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에서 씌어진 듯한 그의 시들은 죽음이라는 주제를 형상화한다. 상실감과 회한과 생의 덧없음, 차분한 어조는 시의 내용을 실감나게 하면서 독자를 숙연하게 하는 조용한 힘이 된다. 이런 미덕에도 불구하고 감상성은 그의 시의 큰 흠이라고 할 수 있다. “여문 마늘을 먹으면/ 아버지 지금도 눈물이 납니다” 같은 진술이 그렇다. 감상을 절제할 수 있는 냉정한 가슴, 객관의 자리에서 세계를 응시하는 차가운 눈이 필요하다고 본다.

 당선작으로 뽑은 김영식의 `소라 여인숙'은 선이 굵고 힘이 있는 작품이다. 새로운 표현에 대한 열정이 있고 사물들과 자신의 심리에 대한 섬세한 관찰이 돋보인다. “대문 푸른 그 집의 적막을 떠밀자 능소화/ 꽃잎마다 출렁! 노을이 밀려든다”와 “모서리 둥글게 닳은 물결무늬 숙박계” 같은 묘사도 빼어나지만 “누군가의 등을 안아주던 흰 바람벽/ 위로 참방참방 헤엄쳐오는 숭어 떼” 같은 표현은 탁월하면서도 참신한 맛과 멋이 있다. 신인에게는, 그리고 문학에는 독자를 설레게 하고 놀라게 하는 이런 새로움이 있어야 한다. `소라 여인숙'은 표현에 공을 들이고 자연스럽게 읽히도록 언어의 선택과 배치에 무척 신경을 쓴 작품이다. 그러나 함께 응모한 다른 시들은 `소라 여인숙'과 다소 질적인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다와 썩은 생선들과 고래냄새, 그리고 범죄와 죽음의 냄새를 물씬 풍기는 이 신인의 독특한 시시계를 우리를 주목할 것이다.

 김영기·최승호

추천9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