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작품
2006년 동양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시>
페이지 정보

본문
집
박순서
언 강을 떠나는 새는
내 눈 속으로 들어와 집을 짓는다
나는 차마 관 뚜껑을 닫지 못한다
하루살이처럼 세상 휘저으며 여태껏 살아
나는 누구의 보금자리가 되었는가
언 강에도 새들의 집이 있고
꽃이 진 마른 대궁에도
봄볕의 집은 남아있다
내 눈 속의 새들아
이제 돌아갈 길일랑 잊어버려,
마지막 웅덩이에 고인 빗물처럼
흐르다 흐르다 내 몸에 칭칭 감기어
안온한 보금자리에 머무름 같이
너 이제 날개를 묻으라
능선을 넘으면 내 무덤이 있다
낯선 바람에 끌려가다
부리로도 울지 못한 네 눈물이 있다
저기, 보아라
저승 가는 길목에 굶주린 까마귀가
까르륵 까르륵
빈 솥에 밥을 푸고 있지 않느냐
---------------------------------------------------
[심사평]
‘은행나무에 걸린 곡예사’(부산 박미경)는 소재가 이색적이고 신선했지만 어딘지 설득력이 조금 부족한 것 같았다. 시어 선택이 너무 경직된 탓이 아니었을까. ‘호박 속의 모기’(경북 권영하)는 주제 설정도 좋았고 잘 읽혔지만 구성이 약간 산만스러웠다. 집중력이 조금 부족했다. ‘풍장’(광주 정철웅)도 좋았지만 ‘수만리에서’가 더 잘 읽히고 애정이 갔다. 하지만 다 읽고 나면 어딘가 허전한 느낌이 남은 작품이었다. 기승전결중에서 결이 약했던 것은 아닐까. 마지막 ‘집’(서울 박순서)은 그 끈적끈적한 시어들이 끝까지 놓지 않게 했다. 전체적인 시의 구도도 짜임새가 있었다. 그릇, 형식에 알맞는 내용이 잘 맞아 들어간 것 같다. ‘수만리에서’와 두 작품을 놓고 겨루다가 좀 더 따뜻하고 부드러워 설득력이 앞서는 ‘집’을 당선작으로 민다. 다른 작품과 달리 절제된 시어로 인하여 이미지가 투명해서 전달력이 뛰어나다. 금년도 응모작품들은 모두 상당기간의 수련을 거친 분들의 작품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도 표현을 위하여 너무 많은 시어들을 낭비하는 것 같아서 안타까웠다.
그것은 주제가 잘 익고 절실해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너무 일찍 손댄 것일 수도 있다.
너무 욕심을 많이 부리다 보니 말이 앞서고 많아졌다. 어느 한곳에 카메라의 초점을 잘 맞춰야만 하는데 이런저런 사물들을 사용하다보니 길어지고 이미지 또한 흐려지고 말았다. 설득력이 떨어지고 나 홀로의 시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독자들에게 다가가는 감동 또한 약해졌다. 시는 장시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짧아야만 이미지의 투명성이 돋보이고 리듬이 되 살아난다. 그래야만 호소력도 강해진다. 주제에 따른 언어의 경제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이야기를 담는 것이 시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당초부터 카메라의 위치를 잘 선택해야만 한다. 너무 많은 욕심을 부려서 많은 사물을 담으려고 해서는 안될 것이다. 집을 건축하는데 쓸데없이 많은 재료들을 낭비할 필요가 어디 있겠는가. 오늘의 시는 눈보라치는 겨울밤의 연탄불처럼 따뜻했으면 좋겠다. 당선된 분께 박수를, 그리고 다른 분들에게는 위로를 보낸다. 공부하시다 보면 좋은 소식이 틀림없이 있을 것이다. 박희선<시인>
박순서
언 강을 떠나는 새는
내 눈 속으로 들어와 집을 짓는다
나는 차마 관 뚜껑을 닫지 못한다
하루살이처럼 세상 휘저으며 여태껏 살아
나는 누구의 보금자리가 되었는가
언 강에도 새들의 집이 있고
꽃이 진 마른 대궁에도
봄볕의 집은 남아있다
내 눈 속의 새들아
이제 돌아갈 길일랑 잊어버려,
마지막 웅덩이에 고인 빗물처럼
흐르다 흐르다 내 몸에 칭칭 감기어
안온한 보금자리에 머무름 같이
너 이제 날개를 묻으라
능선을 넘으면 내 무덤이 있다
낯선 바람에 끌려가다
부리로도 울지 못한 네 눈물이 있다
저기, 보아라
저승 가는 길목에 굶주린 까마귀가
까르륵 까르륵
빈 솥에 밥을 푸고 있지 않느냐
---------------------------------------------------
[심사평]
‘은행나무에 걸린 곡예사’(부산 박미경)는 소재가 이색적이고 신선했지만 어딘지 설득력이 조금 부족한 것 같았다. 시어 선택이 너무 경직된 탓이 아니었을까. ‘호박 속의 모기’(경북 권영하)는 주제 설정도 좋았고 잘 읽혔지만 구성이 약간 산만스러웠다. 집중력이 조금 부족했다. ‘풍장’(광주 정철웅)도 좋았지만 ‘수만리에서’가 더 잘 읽히고 애정이 갔다. 하지만 다 읽고 나면 어딘가 허전한 느낌이 남은 작품이었다. 기승전결중에서 결이 약했던 것은 아닐까. 마지막 ‘집’(서울 박순서)은 그 끈적끈적한 시어들이 끝까지 놓지 않게 했다. 전체적인 시의 구도도 짜임새가 있었다. 그릇, 형식에 알맞는 내용이 잘 맞아 들어간 것 같다. ‘수만리에서’와 두 작품을 놓고 겨루다가 좀 더 따뜻하고 부드러워 설득력이 앞서는 ‘집’을 당선작으로 민다. 다른 작품과 달리 절제된 시어로 인하여 이미지가 투명해서 전달력이 뛰어나다. 금년도 응모작품들은 모두 상당기간의 수련을 거친 분들의 작품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도 표현을 위하여 너무 많은 시어들을 낭비하는 것 같아서 안타까웠다.
그것은 주제가 잘 익고 절실해질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너무 일찍 손댄 것일 수도 있다.
너무 욕심을 많이 부리다 보니 말이 앞서고 많아졌다. 어느 한곳에 카메라의 초점을 잘 맞춰야만 하는데 이런저런 사물들을 사용하다보니 길어지고 이미지 또한 흐려지고 말았다. 설득력이 떨어지고 나 홀로의 시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독자들에게 다가가는 감동 또한 약해졌다. 시는 장시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짧아야만 이미지의 투명성이 돋보이고 리듬이 되 살아난다. 그래야만 호소력도 강해진다. 주제에 따른 언어의 경제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이야기를 담는 것이 시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당초부터 카메라의 위치를 잘 선택해야만 한다. 너무 많은 욕심을 부려서 많은 사물을 담으려고 해서는 안될 것이다. 집을 건축하는데 쓸데없이 많은 재료들을 낭비할 필요가 어디 있겠는가. 오늘의 시는 눈보라치는 겨울밤의 연탄불처럼 따뜻했으면 좋겠다. 당선된 분께 박수를, 그리고 다른 분들에게는 위로를 보낸다. 공부하시다 보면 좋은 소식이 틀림없이 있을 것이다. 박희선<시인>
추천119
- 이전글2006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시> 08.02.16
- 다음글2006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시> 08.02.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