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종권의 서정시 읽기
유경희 시인의 고공사회에 대한 경고 메시지/인천뉴스
페이지 정보

본문
유경희 시인의 고공사회에 대한 경고 메시지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아파트
그곳 사람들은 왜인지 높은 곳에 집을 짓고 살았고
그래서인지 추락하는 아기 새가 많았다.
땅을 잃어버려 유랑자 같았고
하늘은 막혀있어 무한도 꿈꿀 수 없었다.
왜인지 그곳 사람들은
죽음으로 가는 문을 막지 않고 살았다.
죽음으로 가는 문이 그렇게 많이 열려 있는 곳은
그곳밖에는 없었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때론 삶을 꿈꾸기도 하였다.
-계간 아라문학 여름호에서
유경희
2004년 <시와세계>로 등단.
인간은 땅에 가까울수록 안전하고 편안하다. 심리적으로도 안정이 된다. 날개 대신 두 다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땅에서 떨어질수록 공포심을 느끼게 된다. 세상이 변하면서 단층집이었던 가옥이 수 십층 빌딩으로 변했다. 높을수록 위험함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자꾸 위로만 솟구친다.
그렇다고 하늘에 가까워지거나 접촉할 수는 없다. 하늘은 더 멀어지고 더 공포스러운 존재로 변할 수밖에 없다.
높은 곳으로 이동하다보니 추락하는 일도 빈번해졌다. 타의나 사고에 의한 추락만이 아니다. 자의에 의한 추락도 적지 않다. 날개가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확인이라도 하는 듯하다.
/장종권(시인, 문화예술소통연구소 대표)
추천0
- 이전글나는 새를 잡으려다 비움을 읽는 이명수 시인 /인천뉴스 17.01.06
- 다음글유혹이면 어떠랴, 아름다운 사랑의 황옥경 시인 /인천뉴스 17.01.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