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장종권의 서정시 읽기

손택수 시/꽃단추/경기신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백탄
댓글 0건 조회 4,627회 작성일 14-03-05 14:09

본문

손택수 시/꽃단추

 

 

내가 반하는 것들은 대개 단추가 많다

꼭꼭 채운 단추는 풀어보고 싶어지고

과하게 풀어진 단추는 다시

얌전하게 채워주고 싶어진다

참을성이 부족해서

난폭하게 질주하는 지퍼는 질색

감질이 나면 좀 어떤가

단추를 풀고 채우는 시간을 기다릴 줄 안다는 건

낮과 밤 사이에,

해와 달을

금단추 은단추처럼 달아줄 줄 안다는 것

 

무덤가에 찬바람 든다고, 꽃이 핀다

용케 제 구멍 위로 쑤욱 고개를 내민 민들레

지상과 지하, 틈이 벌어지지 않게

흔들리는 실뿌리 야무지게 채워놓았다

 

-<2013 노작문학상 수상작품집>에서

 

손택수

1970년 담양 생. 199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으로『호랑이 발자국』,『목련 전차』,『나무의 수사학』이 있다.

 

감상

인간을 사회적 존재라고 보았을 때 그 출발은 아마도 상대적 개념에서였을 것이다. 음양의 원리가 그렇듯이 세상은 크게 보면 이원적 상대개념에서 그 사유의 근원을 찾을 수도 있겠다. 이 상대적 존재들의 관계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이냐 하는 문제가 사회의 가장 긴요한 문제일 수 있다. 조각난 파편들을 부지런히 연결시키려는 따뜻한 마음이 진하다. 그렇다고 무리하거나 무모하지도 않다. 오히려 헐렁하거나 자연스러운 자세이다. 그것을 지상과 지하를 부지런히 연결하려는 민들레에게서 배운다. 파편과 파편을 연결시키려는 작업은 일종의 소통 추구로 봄직하다. 세상이 하나가 될 이유야 없지만 소통은 필요하다. 나와 너는 그리하여 건강하게 존재한다./장종권(시인)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