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장종권의 서정시 읽기

땅/우대식(경기신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백탄
댓글 0건 조회 2,926회 작성일 13-05-20 16:19

본문

우대식 시

 

 

참 좋다

오줌도 똥도 다 없어진다

사람도 땅에 누우면 사라진다

미래도 녹인다

부처도 녹인다

땅 깊은 속에는

불이 끓고 있다

끓는 불 속으로 손을 쏙 집어넣어본다

그 안에 똥도 오줌도 사람도

딱딱한 별이 되어

하늘에 걸려 있다

별들이 많다

땅은 지상의 쓰레기를 모아

별을 만들고 있다

-우대식 시집 설산국경에서

 

 

우대식

1965년 원주 출생. 1999년 ≪현대시학≫으로 등단. 시집 늙은 의자에 앉아 바다를 보다, 단검, 설산국경.

 

 

감상

음양의 논리로 보면 땅은 모성의 상징이다. 모든 것을 품에 안아주는 넉넉한 존재이며 동시에 창조적 생산의 상징이다. 대지가 아니고서는 생명을 이어갈 자가 없으며, 그 존재를 이어갈 수조차 없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편안하게 살아가는 터전인 대지는 그러나 고요하기만 한 존재는 아니다. 대지 위의 모든 것들에게 생명을 주고, 그것들을 자라게 하고, 또한 소멸시키기 위해서는 아마도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할 것이다. 그래서 땅은 뜨겁다. 보이지 않는 가운데 펄펄 끓고 있는 마치 용광로이다. 대지 위에 무엇이 존재하였던 간에 대지는 다시 그들을 모아 밤하늘에 번쩍이는 영원한 별을 만든다. 이것이 대지의 숭고함이다./장종권(시인)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