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작품

이외현/ 다순구미 마을/2013 리토피아 겨울호(집중조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현미
댓글 0건 조회 5,333회 작성일 14-01-29 09:51

본문

다순구미 마을

 

물이 석유보다 귀하던 시절이다. 새벽부터 길게 늘어선 공동우물에서 길어온 한 양동이의 물은 다순구미 사람들을 해갈시키는 단비였다. 동네 아낙들은 째보선창에서 김칫거리를 절이기도 하고, 팔고 남은 생선이나 갓 잡은 멸치를 켜켜이 간질을 해 곰삭여 젓갈로 팔았다. 늙은 할매도 생선을 손질하거나 그물 손질을 하여 밥벌이에 보탰다.

 

째보를 닮은 째보선착장은 많은 고깃배들이 들락거렸으며 조금에 가장들이 돌아오면 생일이 같은 조금 애기들이 여러 명 태어났다. 아이들은 째보선착장이 놀이터였으며 자연스레 뱃사람으로 자랐다. 같은 고깃배를 탔다가 배가 난파되어 제삿날이 같은 집들도 많다.

 

다순구미 사람들의 생사를 거머쥔 째보선창은 도로를 정비하며 파닥거리는 가물치 같은 활기와 째보의 모습을 동시에 잃었다. 많은 이가 떠나버린 황량한 다순구미 마을에도 뉴타운 바람이 불었다. 째보가 곰보가 되어버린 선창처럼, 벽에 바른 시뻘건 페인트가 겁나고, 일조권 침해의 덤터기가 두려운, 따사로운 햇살이 서툰 발걸음을 옮긴다.

 

다순구미: 지금의 목포시 온금동의 옛 지명으로 ‘따사로운 햇살이 오랫동안 머무는 곳‘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째보: 언청이를 얕잡아 이르는 말.

조금: 조수가 가장 낮은 때인 음력 매달 초여드레와 스무사흘을 이름.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