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리토피아 신인상

신인상
수상자
투고작

이인성(구명-이산)/시(2015 겨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백탄
댓글 0건 조회 1,145회 작성일 16-05-02 11:37

본문

이산9.jpg

 

 못 읽은 편지

 

 

모퉁이길 돌아가면

어느새 초겨울의 짧은 해가 저물고

달빛 부스러기 환한 강둑길의 흔들림이 있다

기다리지 않아도, 기다림마저 잊었을 때도

너는 어김없이 와서 성큼 다가선다

바람은 급한 사연 품고 어딘가로 달려가고

부시시 눈 비비며 늑장 부리는 너

불어갈 바람의 흔적이라도 알고 있는 걸까

어김없이 떠날 준비를 하는 사람들,

뭔가 쏟아질듯 냉한 하늘 바라보다가

궁금하게 밀봉된 편지 한 통 앞에 나는 머뭇거린다

문득 내 앞에 놓여 있던 길이 사라지고

여기저기 사람들도 사라진다

기다리던 눈은 내리지 않는다

우리들의 생명에 불을 지필 수 있다면

밟고 밟아 단단히 길이 된 땅에서도 다시 꽃 한 송이 피울 것이다

들판 위에 서 있는 이름 모를 나무도

한 계절 쌓인 낙엽 무더기 크기만큼의 사색을 가졌다

 

이 계절에 분명해질 수 있는 것은

새로 태어나기 전 아득함만큼의 고요이다

지난 계절을 담은 밀봉한 편지 앞에서 나는 머뭇거린다

 

 

 

 

부게로의 그림 앞에서

 

 

흐릿한 부게로의 그림 앞에서 그대를 찾는다

횡단보도 신호대기중의 익숙한 침묵 같은 고요 앞,

내 속마음 탄로 난 듯

그리움 담은 상상의 지도에 표시를 남기고

늦겨울 바람이 떠나가고 있다

비밀스럽게 꼼꼼히 적어둔 주소록은

내려놓고 싶지 않은 추억만큼 은근하다

그대 체온 간직했던 손끝이 무디어 가고

잠시 망설이던 그 바람을 깨닫는다

누군가 잠을 설치며 두런거리던 밤이 깊어간다

눈 녹은 먼 산, 허전한 모습 같았던

겨울의 주문진 바다 여행을 꿈꾸어 보았다

허공은 방향감각을 잃었다

 

*부게로 : 프랑스의 신고전주의 화가.

인상주의를 반대한 엄격한 기법으로 완벽에 가까운 표현을 하였다.

대표작으로 ‘바느질하는 여인’이 있다.

 

 

 

 

포구의 기억. 1

 

 

고요 속, 밤은 조각조각 별빛 부스러기로 내려앉는다

어둠이 반짝이는 해안선

기억 따라 침묵이 앞서 가는 늦은 계절

불안한 발걸음에는 선착장 어수선한 사연이 담겨 있다

 

새벽 바다로 떠났던 허기진

어부의 주린 배 채우기 위한 명목으로

몇 마리 오징어는 난도질당했고

먹물 검정색으로 스스로 조상하며 죽음을 기념하였다

 

만선의 느긋함, 어둑한 선착장 내려서

그 사내 허름한 술집 작부와 그만의 찬란한 밤을 보냈다

돌아온 배들이 단단히 묶여 숨죽인 선착장

사연들, 묵직한 어둠 속 침묵하는 밤

 

그 시간 어루만지듯 별빛 시퍼런 해안가

묵혀둔 그리움에 떠밀려 나는 길 위로 시선을 빼앗겼다

 

 

 

 

포구의 기억. 2

 

 

시선이 끝나는 그곳,

가도가도 만나지지 않는 신기루 같은 점

내 숨결이 지나쳐온 회상 속의 수많은 기억들

그렇게 이어지고 이어진 흔적들,

어디였는지 모를 순간의 기억들이 헝클어 진 채

그 점들 하나하나 밟히는 길이었다

 

이리저리 몰려다니며 뒤섞인 혼돈의 걸음

곤한 잠은 민박집 차디찬

방바닥에 무기력하게 내려놓고

아우성으로 창문 틈 비집고 드는

심란한 바람 소리에 깨어버린 시간

나는 시어들을 어루만지며 이야기를 만들고

두런두런 삶의 조각들을 이리저리 꿰맞추어

뭉클한 이야기를 써내려갔다

거칠기만 한 주문진 바다의 바람과

긴 저음의 파도소리가 동행해 주는

 

사연 많은 시커먼 밤의 골똘한 시간 속의 점들,

그것은 결국 나였다

 

 

 

적영赤影

 

 

빛 그리고 내가 투과된 그림자

긴 그림자가 붉다

수많은 만남과 헤어짐 이후의 공허한 색채

그건 고갈된 그리움 내려놓은 기다림이다

붉은 빛으로 응집된 나는

이제 누더기를 벗으려 한다

그들이 나를 버리고 얻은 착각이 있다면

나 또한 버리고 자유로우리라

모든 것은 마음

밝고 가득한 이 따사로움의 빛

얼마나 긴 세월 내게 돌아오라 손짓 보내고 있었을까

빛 속으로 걸어갈수록

빛이 벅찰수록 그림자 작아지고

붉고 긴 나의 그림자 모래바람으로 사라진다.

 

 

 

 

<심사평>

자아 성찰을 위한 참신한 기획 엿보여

 

우리는 왜 시를 쓰는가? 미적 기획이란 아무리 십분 양보한다 해도 실용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는 없다. 다시 말해 ‘시’는 자아에 대한 반성적 인식에서 출발하는 것이지 실용적 목적을 위한 도구나 수단으로 전락시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지극히 당연한 명제를 가끔은 간과하거나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안타깝다. 이영석 시인은 그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인으로서 최소한의 필요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시인은 이 계절에 분명해질 수 있는 것은/새로 태어나기 전 아득함만큼의 고요이다/지난 계절을 담은 밀봉한 편지 앞에서 나는 머뭇거린다”(「못 잃은 편지」)고 표현했다. 또한 “빛 속으로 걸어갈수록/빛이 벅찰수록 그림자 작아지고/붉고 긴 나의 그림자 모래바람으로 사라진다.”(「적영(赤影)」)는 부분은 반성적 인식이 시작되는 지점을 적확하게 지시하고 있다.

이영석 시인의 미래를 위해 첨언하자면, 아직 군데군데 육화(肉化)되지 못한 관념의 편린(片鱗)들이 고스란히 노출된다는 점은 꼭 시정해야 할 것이다. 현대인의 일상은 ‘자동성, 단순성, 반복성’에 의해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 이것은 철학적으로도 심각한 과제이며, 당연히 시적 테마로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영석 시인도 이미 알고 있겠지만, 피상적 인식을 개선하는 방법은 ‘관찰 → 통찰(insight)'로 사물과 사태를 끊임없이 탐색해 보는 것이다. 시인의 충분한 역량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장종권, 백인덕

 

 

 

 

<당선소감>

W.H. 허드슨의 “詩는 상상과 감정을 통한 인생의 해석이다.”라는 말을 기억한다.

우리들의 삶은 그러한 상상과 감정의 물결 속에서 나름대로 타고난 성향과 경험에 의한 체계로써 살아간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다 보니 시를 tM는 나의 모습은 익숙하게 본질의 나를 찾아가는 수행의 한 방편으로 서서히 생활 속에서 굳어져간 것 같다.

중년을 지나는 이 나이에 지나온 시간들을 되돌아보면 어설프고 부끄러운 것들이 발목을 잡고 놓아주지를 않는다.

그래서 종종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는 일도 많았다. 그럴 때마다 시를 쓰며 위로를 받고 마음을 다스리며 맑은 새벽을 맞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시는 나에게 있어서 위로의 존재이고 치유의 과정이고 하나의 수행법인 것이다.

부족한 사람에게 시인으로써 거듭나게 기회를 준 <리토피아>를 마음에 깊이 새겨봅니다.

<장 종권> 주간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이산

[이 게시물은 리토피아님에 의해 2024-04-25 16:32:35 신인상수상자에서 이동 됨]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