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리토피아 신인상

신인상
수상자
투고작

강은새-시(2004.3.18) 확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장종권
댓글 0건 조회 300회 작성일 04-11-15 21:10

본문

                        무덤으로 걸어가는 소


       1
       (# 매립지로 걸어 들어가는 소들과 고삐를 쥔 사람들의 뒷모습 사진
     한 컷)
       제주도 남제주군 관계자들이 표선면 가시리 이모씨가 충북 충주에서
     들여온 한우들이 브루셀라병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자 10일 이들 소를
     도살해 매립하고 있다(am7誌 2004.3.11日字, 8面)

       2
       관계자들의 생각이 궁금하다
       한 밤의 꿈이 밀어올리는 아침
       가시리 이모씨의 슬픔이 돌이 될 즈음
       돌 아닌 관계자들이 걸어가야 할 길
       平地의 희망도 가끔은 절망을 매립하므로
       거대한 봉분을 밟는 기분으로
       가족들에게 인사를 건네는 아침
       관계자들의 책임이 결재판에 올려지는 아침
       한 生의 아침을 종이칼날로 후려치며
       우선 관념적으로 사망한 소들의
       고삐를 죄러 가는 아침
       관계자들의 눈빛이 궁금하다
       둥근 엉덩이를 흔들며 참 착하게
       포크레인으로 파헤쳐진 平地의 무덤으로
       말없이 걸어가는 소
       고삐를 쥔 관계자들과의 아주
       고요한 平行













                        어느 봄날의 장례식장


             창경궁 돌담 너머 연두가 조금씩 제 몸 올린 거 본다
             길 건너 서울대학병원 장례식장 마당 잠시 햇볕 쬐는
             소복차림 여자의 치마자락이 살짝 올라간 거 본다
             고단하게 겨울을 살아낸 것들이
             살붙이의 죽음을 보내고 나서 가장 고요해진 틈
             저 혼자 고개 끄덕이는 거 본다
             장례식장 울타리 너머 빈 둥지 하나씩 품고
             플라타너스들 길게 서서 하품하는 거 본다.

             저 나무들처럼,
             나도 쇄골 아래쯤에 번지(番地) 하나 새기고 싶다
             가렵고 향내나는 물관부 끝 땅에 접붙이고
             몸을 밀고 올라오는 어둠들이 아득하여 잠시 쉴 때
             수 천의 빛으로 가닥져 흔들리는
             문패 하나 가슴에 달고 싶다
             죽음조차 눈부셔서 잊을 수 없는 사람에게
             고사목(枯死木)이 되어도 바뀌지 않는
             주소 하나 일러주고
             지금 없는 새들이 곧 둥지로 돌아올 것처럼
             그쯤에는 그늘도 무성하게 늘어뜨린
             플라타너스 푸른 집이 되고 싶다.















                                용접공(鎔接工)


                        저 쭈글쭈글한 사내
                        얼굴에 몇 숲의 바람이 살고
                        한 세월 지나온 손가락 마디마디
                        겸손의 날들 둥글게 서 있는,
                        저 사내 휘어질 듯
                        잠시 숨 놓은 자전거나 오토바이 사이
                        해체된 페달의 관절을 툭툭 치며
                        걸어 온다, 아직
                        혼곤함이 가시지 않은 작업장 한 켠
                        옛 동료처럼 던져진 고물덩어리들
                        서늘한 초저녁 잠들어 있고
                        팅팅 불은 자장면 한 그릇 냄새 피우며
                        오늘도 누군가의 빈 속 채우지 못하는 날
                        몸 비틀어 하품하는 사내
                        용접봉을 들고 마지막
                        가스불 당긴다

                        타타탁!

                        생의 가뭄이 일시에 터지고
                        속을 뒤집어 펼칠수록 불꽃으로 산란하는
                        쇠의 내장들, 온 몸으로 받아먹는
                        저 사내














                                 첫눈


                        당신이 내려오신다
                        잘 살아라, 마지막 말 한 마디
                        더 이상 눈물 한 방울 나오지 않고
                        눈빛만 그윽했던 새벽
                        사랑해라 사랑이 아니라면
                        내 여기까지 못왔다는 말 한 마디
                        에미는 어디 있느냐는 말 한 마디
                        여기 있어요 하며 손잡아 주는
                        며느리의 손등을 쓸며
                        입끝에서 웅얼거리던 말 한 마디
                        삶이 미처 준비되지 않고
                        죽음이 한 순간의 깨달음으로 오는 새벽
                        당신 아내 손 잡으며 큰 맘 먹고
                        정말 숨 한 번 크게 쉬어야
                        할 수 있을 것만 같았던 말 한 마디
                        신세 많이 졌네 잘 있게
                        그 한 마디
                        그 캄캄하고 추웠던 말 한 마디

                        펄펄 내려 오신다
                        따뜻하게 풀어져서 내려 오신다
















                                사이


        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에서 그 할머니 탔다
        돗수 높은 안경에 까만 장갑 양손에 끼고 한 껏 외쳤다

        여러분들에게 오늘 요술장갑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장갑은 남녀노소        누구나 낄 수 있는 장갑으로
        ……※
        여러분들을 단 돈 천원으로 모시겠습니다

        단 돈 천원으로 모시겠다던 그 할머니 저 끝까지 걸어가지 못하고
        다음역인 혜화역에서 짐을 끌고 하차했다 찬바람이 쌩하니 불어닥치고
        열차 안이 잠시 조용해졌다




        ※ …… ; 온전히 나의 몫이 된 침묵, 그 할머니에게서 내게로 전이된 욕                 망, 내가 차내의 다른 사람들에게 마음으로 종용한 양심, 그들이 나에게 보        낸 애절한 눈빛, 또는 이심전심(以心傳心), 불립문자(不立文字), 2003년말         입동(立冬)자리에서 예감하는 세계, 세계가 나이고 내가 세계인 그 제유(提         喩)의 빌어먹을 화엄(華嚴)!

















                             점호(點呼)


                 아침 출근 지하철 전동차 안 북새통에서
                 누군가 참 크고 빠른 목소리로 외쳤다
                "8시17분구로역8시20분신도림역8시23분영등포역......"
                 순간,
                 앞사람의 뒤통수에 잠의 그늘 널어놓던 사람들
                 화들짝 놀라 눈 뜨고 서로 쳐다보다
                 출입문 옆 표정 없는 얼굴 하나
                 온몸으로 느끼기 시작했다.

                 미친다는 것은
                 스스로를 용서할 수 없기 때문일까
                 세상이 그에게 주었던 슬픔을 말하기 전
                 눈 부릅뜬 그의 입이 사람들의 정신을 점호한다
                 8시 26분 신길역에서 8시 29분 대방역에서
                 노량진 용산 서울역 시청 종각에서
                 아침점호를 끝낸 사람들이 우루루
                 세상으로 쏟아져 나간다.

                 함부로 흘리면 안될 마음 하나씩
                 목구멍에 구겨 넣고

















                             새의 지도


                        저 창밖의 새는
                        어떻게 세상을 다 알지
                        저 작은 눈으로
                        어떻게 하늘의 길을 보며
                        저 작은 날개로
                        어떻게 바람의 중심을 타지
                        아이에게 직선으로 묻지 않는
                        나의 왜곡을 힐난하듯
                        아이의 대답이 직선으로 날아온다
                        그건 말이예요
                        새의 머리에 지도가 있어서 그래요
                        사람의 머리에는
                        뼈가 들어 있는데요
                        새에 관하여 더이상 묻지 않기로 한다
                        물질과 정신을 비유하는
                        나와 새가 함께 살아가는
                        저녁의 밥상에서
                        다리 고쳐 앉는다



















                           오래된 연가(戀歌)


                     아내의 눈썹을 보면 파릇파릇
                     이미 오래전 그녀의 서랍속에 침몰한
                     내 희망의 편지들이 생각나고
                     그 밖에 생각나지 않는 언약들이
                     그녀의 나이만큼 실한 먼지들에 덮혀
                     조용히 잠들어 있을 것이다
                     사랑을 추억한다는 것은 추억을
                     사랑한다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나는 아내의 얼굴을 보지 않고도
                     계절마다 다른 인사를 건네는 바람과
                     무더위와 낙엽과 눈내리는 날의 눈사람이
                     아주 조용히 집으로 돌아오는 골목길
                     희미한 가로등 아래까지 왔다 되돌아
                     가곤 한다는 것을 짐작하지만
                     가끔 추억도 사랑의 일부라서
                     꼭 다문 입술 파르르 떨리도록
                     시간이 가슴에 날아와  꽂히는 것을
                     보기도 한다 그때마다  베란다
                     난간 너머로 십자매나 카나리아
                     또는 무수한 꽃잎들이 눈부시게
                     날리는 것을 보기도 한다
















                        粉靑沙器鐵畵唐草文


                        강물인 그대의 한 허리 떼어
                        내 몸에 담그니 내가 강물이다
                        구름인 그대의 한 옷자락 떼어
                        내 몸에 담그니 내가 하늘의 구름이다
                        내 몸속에 들어온 그대는 푸르거나 흰 빛
                        내 몸속에 들어온 만큼의 강물로
                        저 강물 푸른 빛 잃지 않고
                        내 몸속에 들어온 만큼의 구름으로
                        저 하늘 가볍게 추락하지 않는다
                        내 몸속에 들어온 강물은
                        여전히 강물을 바라보며
                        내 몸속에 들어온 구름은
                        여전히 하늘을 바라본다

                        어느날 마음의 금가고 버려진
                        나는 안이면서 밖이어서
                        내 몸속에 들어온
                        강물의 오래된 길 위에 있다
                        하늘의 구름이 덮어주던
                        산빛의 손길 위에 있다 나는
                        금 간 추억으로도 오랫동안
                        흙빛의 길 위에 있다, 산다.















                                   장마


                        나는 푸른 것들 속에 있다.
                            푸른 것들은 내 검은 속내에 들어와
                        하루를 살아도 꼭 푸른 죽음이거나
                             먼 보라빛 이별을 남기고 갔다.
                        산은 시야에 들어오지 않고
                           나는 한 생애의 몇 분의 일이
                         시름에 잠기고 사랑을 하는 동안
                       나머지 생애가 아주 조용히 죽는다는 것을
                        알았지만 푸른 것들의 여름 내내
                          눈물인지 빗물인지 가슴팍을
                          칼금을 그으며 흐르는 그,
                          청춘을 생각하면 아무런 산에 홀로 있거나
                          빗방울 보이지 않는 부신 하늘 아래
                              구름 위의 햇살 한 가닥쯤으로 있었다.
                             슬픔이란 그러므로 빗방울을 타고
                             지상에 내려오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비오는 날


                        비오는 날
                        창밖을 바라보면
                        깊이 몸 뉘었던 자리에서 일어나
                        창가에 기대어 아스팔트 바닥에 떨어지는
                        빗방울 바라보면
                        수직으로 꽂히는 비의 아픔이 무엇일까
                        생각하게 된다
                        제 몸에 닿는 나무잎과 벤치와
                        도시의 아파트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소멸로 흐르는 물줄기가 되기 전에
                        이다지도 시끄럽게 투닥거리는

























                        속이 비어 있는 말 하나


                햇살이 세상의 길을 걸어온 귀에 부딪치고
                낙엽이 입속의 혀처럼 그리움으로 말리는 가을
                그대 가슴께에 둥지 튼 바람새 한 마리 휘파람 분다
                그대가 입 모양 지어 불러주는 이름마다 공명이 울어
                어떤 것은 휘휘휘휘, 또 어떤 것은 소소소소
                제 몸의 무늬를 지으며 세상 물밀어 가는데
                어린날 맑은 추억 떠올리며 문득
                가난,
                하고 부르면 그냥 그냥 그냥 아주 한 순간
                그대가 한 번 눈깜짝할 사이 그 이전의
                눈썹 그늘이 잠시 스쳐 지나가는 순간
                우수수 밑이 쏙 빠져버리는
                마음의 허공 하나
























                                이 슬



     여름날 이른 아침 길을 나서며 그동안 보지 못했던 길위의 햇빛을 본다면

   햇살의 가시끝에 눈 찔리고 아파라! 이미 마음 속에 들어와 사는 사소한 푸

   른 이파리들 길가의 담장 밖으로 내미는 손 본다면 이 길 따라 아침에서 햇

   빛 속으로 떠난 그대의 오래된 소식들의 편지가 한 장 두 장 마음의 갈피에

   꽂히고 그대가 멀리서 지켜보는 사소한 눈길로 내 몸 마르고 바삭바삭 흩어

   진다면



     바로 그 날, 내가 그대에게 가는 날입니다

     그대의 눈 속에 들어가 앉는 날입니다



















                          집, 책을 쓰다


                    언젠가 집에서
                    마른 흙벽이나 시멘트칠벽에서
                    구르릉 구르릉 소리가 난다는 것을
                    알았다 아버지 몸져 누우시고
                    그때였던가 내 생의 한 순간도
                    가슴으로 품어보지 못했던
                    별 하나가 떨어져
                    온 마당의 화분과 나무들을 건드리고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아버지의 입 속으로 빨려들어갔다
                    오물오물 소리없이 뱉어 내는 세월
                    장작처럼 질긴 복식호흡으로 집어 삼킨
                    아버지의 뱃속에서 불뚝 불뚝
                    등나무 한 그루가 자라기 시작했다
                    아버지 그 크셨던 아버지
                    그...래...문...이...나...열...어...라
                    구르릉 구르릉 집이 숨을 쉬고 있었고
                    채 빠져나가지 못한 바람끝을 잡고
                    등나무 뿌리가 벌떡 일어섰다.
                  
                    이 집의 역사에서 새로웠던 것은
                    그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으리라















                           상처를 추억하다


                        이런 일들이 생각난다
                        그대가 산을 오르면 내가 내려갔고
                        그대가 내려가면 내가 산을 올랐다
                        화양강 물안개 자욱한 아침
                        그대 건너 오는 다리를 나는 건널 수 없어
                        강변 뚝방 풀길따라 한 참을 돌아
                        남산 건너는 나무다리에서 흔들렸지
                        또 이런 일들이 생각난다
                        하찮은 것들이 가장 아름다울 때
                        그대는 떠났고 내 몸에서 봄을 맞은
                        풀벌레 이파리 푸른 날들
                        내 가시에 한없이 찔렸던 일

                        그것이 바로 어제였다























                            외출  


                        뚝 딱 딱
                              가끔 망치와 못짐을 들고
                              집 구석구석 누비는 날은
                                나어린 딸아이의 소풍날
                        같았던가 보다 아내는
                
                           내 가는 걸음마다
                        어렴풋이 잊고 살았던
                          그 집의 주인됨이 살가왔는지
                           목(木)기둥이 비바람에 조금씩 비틀리고
                        사철 열고 닫는 문짝에서 삐걱
                        소리가 날 때마다
                        불끈 힘들어간 내 어깨 너머로
                        첫사랑처럼 속삭이며 말한다
                
                        이 녀석도 나처럼 나이를 먹은거야
                        세월이 흐른거지
                        그래 안다
                           내 오랜 그리움으로 두드리는
                          시멘트칠벽이 마른 시래기처럼 부서지고
                           마음보다 가벼운 못심 하나
                        불쑥 솟아올라 상처로 남는

                        아주 화사한 일요일이 되면
                          가끔 망치와 못짐을 들고
                        안으로 안으로만 돌아가는
                        집의 길을 나선다


성   명 : 강 은 새
성   별 : 남, 40세(65年生)
주   소 : 서울시 구로구 구로1동 주공APT 107-201
전화번호 : 011-9993-9064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