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토피아 - (사)문화예술소통연구소
사이트 내 전체검색

리토피아 신인상

신인상
수상자
투고작

신인응모작 검토:평론/소설(임영봉)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임영봉
댓글 0건 조회 307회 작성일 06-07-27 17:11

본문

읽는 일이 생각처럼 쉽지가 않군요.  
제가 검토한 글들은 평론과 소설 부문 응모작들입니다.
당선 가능성을 기준으로 차례로 정리했습니다.

<평론 부문>

먼저, ‘이명랑론’은 상당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가능성은 검증을 요하는 성질의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일은 매우 무난하지만 문제설정 혹은 사유의 방식에 있어 과격함과 단순성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글쓰기 스타일 자체는 평론에 근접해 있지만 다소 상투적이라는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기형도론’은 위의 경우와는 대조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글쓰기 스타일은 평론이라는 형식에 다소 미숙하지만 사고의 전개 방식이 크게 눈길을 끌었습니다. 문제의식 내지는 사유의 깊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더 많은 점수를 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두 경우 모두, 한 편의 글만으로는 그 가능성을 판단하기가 어렵군요.
‘김원우론’은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미달 상태인 것처럼 보였습니다.

<소설 부문>

가장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경우는 「맹인과 등불」과 「핸드폰 무덤」이다. 삶의 아이러니한 측면들, 그 비극성에 대한 작가의 관찰과 묘사력은 수준급이다. 그러나 「맹인과 등불」의 경우, 후반부로 갈수록 긴장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점과 결말의 반전은 이야기를 오히려 진부하게 만들어버렸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지나친 기교가 작위성을 느끼게 만들고 있음도 문제이다. 그것은 작품의 무게를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핸드폰 무덤」은 이런 사실을 분명히 해주고 있다. 삶과 인간에 대한 냉소적 태도로 요약될 수 있는(이 경우에 그것은 자칫 재미난 개그가 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작가 의식의 넓이와 깊이가 가능성의 관건인 듯하다.
「도둑 일기」와 「산 세베리아」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일단 인물의 성격 부여와 주제의 부각, 이야기의 구성에 있어 성공적이다. 주제를 뒷받침하는 표현적 측면, 특히 묘사적인 문장력은 미달 상태이다.  
「은행나무」와 「꽃 진 자리」 또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삶의 불모성을 파고드는 주제의식과 서술의 밀도에 있어 보다 소설적이다. 그러나 구성의 산만함과 문장에 있어 약점을 가지고 있다.
소재는 주제의 불명료함, 여성 주인공의 내면은 평범. 어색한 문장.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와 「오래된 영혼」은 줄거리 나열이라는 느낌을 주고 있다. 비문이 너무 많고, 문장 자체가 소설에 어울리지 않는 설명투의 미달 상태에 놓여 있다.
「프시케의 날개」는 인물과 사건, 그리고 신화의 매개에 있어 지극히 추상적이다. 소설미달 상태로 볼 수 있다. 「둥지」도 비슷한 차원.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한노래지도자협회
정종권의마이한반도
시낭송영상
리토피아창작시노래영상
기타영상
영코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기구독
리토피아후원회안내
신인상안내